기사 (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마카이야기 6 : 마카의 재배현황과 시장성 마카이야기 6 : 마카의 재배현황과 시장성 우리나라 마카 재배면적은 지난해(2015년) 기준으로 4만여평 정도다. 전국 각지에서 산발적으로 재배되고 있는데, 주 재배지는 춘천을 중심으로 한 영서북부권에 40%, 경북 산간지역(봉화 , 예천 등) 20%, 전북 고창지역 10%, 평택, 안성 10% 등이다.마카의 생산량은 재배기술과 관리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는데 보통 1평 기준 2~3kg의 구근을 수확한다.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마카의 원산지 안데스산맥에 위지한 페루에서 생산·공급이 주로 이뤄졌으나 마카의 활용과 인지도가 식의약품 분야로 확대되면서 지금은 남아메리카(볼리비 제휴기관공지 | 하이동방삭농산물생산협동조합 | 2016-04-15 20:00 마카이야기 5 : 마카 재배기술 마카이야기 5 : 마카 재배기술 종자와 파종시기 하이동방삭 마카협동조합은 지난 2008년 페루 파스코지방에서 공수된 씨앗을 우리나라에서 재배해 자가 채종하고 관리한 종자를 공급 중이다. 마카의 종류는 구근의 색갈이 노란색, 붉은색, 검은색 등 3~4가지다. 색상이나 생산지 토질의 광미네랄 함유에 따라 영양성분에 미미한 차이가 있는데, 대체로 노란색 마카가 재배에 수월하다.우리나라에서 마카의 파종시기는 대전을 기점으로 중북부지역과 중남부, 그리고 남서해안(거금도, 해남, 통영, 제주 등)지역으로 크게 나뉘는데, 추운 고위도 지방부터 먼저 파종에 들어 간다. 휴전선 제휴기관공지 | 하이동방삭농산물생산협동조합 | 2016-04-03 15:59 마카이야기 4 : 마카 재배, 전국으로 확대되다 마카이야기 4 : 마카 재배, 전국으로 확대되다 농한기 소득작물, 마카 2014년 여름, 지난 3년간의 겨울철 무난방 비닐하우스 재배에 성공하면서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마카재배는 춘천지역을 벗어나 강원도와 기타 지역으로 본격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농산물이 생산 및 출하를 통해 시장에 유통된다는 것은 재배적기, 물량, 수요에 따른 공급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마카라는 새로운 작물 또한 어느 정도 홍보나 판촉이 전제돼야 유통이 가능한 일이었다.마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고원지대(2천500~5천m)의 건조하고 척박한 환경에서 자생하는 작물이라 전 세계 제휴기관공지 | 하이동방삭농산물생산협동조합 | 2016-03-15 21:07 마카이야기 3 : 한파 속에 피어난 마카 두 포기 마카이야기 3 : 한파 속에 피어난 마카 두 포기 그해 가을인 10월 초순, 비닐하우스 속에 알타리무를 파종했다. 총각무는 45일 정도 키워 11월에 김장철 양념에 버무려 담가먹는 저장식품이다. 11월 중순 달랑무를 뽑아 총각김치을 담갔다. 그리고 비닐하우스 속엔 제대로 자라지 못한 달랑무 열댓 포기와 몇 종류의 잡초만이 남아 한겨울 소양강변의 매서운 한파를 맞이하고 있었다. 12월 한파와 더불어 폭설이 내린 어느 날, 나는 시설물 안전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비닐하우스를 찾았다.춘천의 겨울철 농사는 시설하우스에 난방시설을 한 몇 농가에서 재배되는 특수작물 외에는 대부분 휴경기에 들어 제휴기관공지 | 하이동방삭농산물생산협동조합 | 2016-03-01 19:42 마카이야기 2 : 마카 재배, 도전과 실패의 기록 마카이야기 2 : 마카 재배, 도전과 실패의 기록 마카재배, 불가능을 가능으로!외래작물이 국내에 들어와 재배돼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토양과 기후에 알맞게 표준화된 재배방법을 확립해야 하고, 우리 입맛에 맞춰 안전성을 기준으로 한 연구자료를 확보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마카가 안데스의 산삼으로 알려지면서 국내에서도 2000년대 초반부터 가공 수입품 외에 분말 또는 건조된 원물을 가져와 2차 가공해 일부 시장에 공급하기 시작했지만 재배는 애초부터 불가능으로 인식됐다. 왜냐하면 토양과 기후환경이 판이하게 다를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우리나라엔 안데스산맥 같 제휴기관공지 | 하이동방삭농산물생산협동조합 | 2016-02-19 16:18 마카이야기 1 마카이야기 1 이 지면은 과 의 협약에 따라 이 에 임대한 공간입니다. 은 격주로 마카 이야기를 게재할 계획입니다. 잉카인들이 먹었던 안데스의 산삼, 마카마카Maca 하면 우선 우리나라 경상도, 강원 영동지방의 사투리인 ‘모두‘나 ’함께’란 단어를 떠올린다. 그런데 마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고원지대에서 자생하는, 우리나라의 산삼과 비슷한 약용작물 이름이다.안데스산맥 해발 2천500m~5천m 사이에 자생하는 마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제휴기관공지 | 하이동방삭농산물생산협동조합 | 2016-02-19 00:40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