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도교육청에서 주최한 ‘4·16 이후 우리 교육에 묻고 답하다’ 포럼을 다녀왔다. 세월호 참사는 법적으로 해결된다 하더라도 이제 회복하기 어려운 상처로 남게 되었다. 과연 무엇으로 그 재난을 극복하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을까. 아직도 거대한 구조적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없는 참혹함 속에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신자유주의의 체제적 모순이 남긴 사회적 참사임에 틀림없기에 반드시 사회적 부검을 해야 한다는 의제는 당연하다. 그 사회적 부검 속에는 교육적 위기에 대한 성찰도 포함되어 있고, 교육적 대안으로 ‘4·16 교육체제’가 준비되어졌다고 들었다. 참으로 반가웠다. 사회적 아픔을 극복하고 기억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는 공고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이를 교육적 의제로 가져와 다시 현재 교육을 철저하게 해부해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정말 고마웠다. ‘가만히 있으라’를 내면화시키는 교육으로는 또 다른 참사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음을 우리는 절박하게 깨닫고 있었기 때문이다.

누구나 알고 있듯이, 현재 입시제도의 구조 속에서는 어떤 교육적 대안도 나올 수 없다. 입시를 치르는 아이들도 그것을 알면서 자신이 나갈 사회가 요구하기에 어쩔 수 없이 선택하고 있는 듯하다. 입시제도는 분명히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있다. 아이들이 사회에서 가치 있는 인간으로 살아가게 하는 것이 교육이라면, ‘나는 존엄한가?’를 배울 틈을 주지 않는 현재 학교 시스템과 교육과정으로는 불가능하다. 부분수정이 아니라 전면적인 수정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교원양성 시스템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필요하다.

다행히 강원도교육청은 이에 대한 고민들을 먼저 나서서 구체화시키는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올해 파견교사로 나가 도교육청에 근무하면서 예전 교육청에서 기대하지 못했던 모습이 진정성 있게 펼쳐지고 있음을 생생하고 보고 있다. 오히려 학교현장이 경직되어 있지 않나 싶을 정도로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공립형 대안학교로서 현천고를 비롯해 내년에는 공립 대안중학교인 가정중학교가 문을 연다. ‘봄내친구랑’과 같이 학교 밖 아이들이 자신을 돌보고 미래를 만들어낼 공간들이 마련되고 있고, 학교 안에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교실과 대안학급의 운영이 확대되고 있으며, ‘작은학교살리기’를 시작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실현의 토대를 닦고 있다. 신념 있는 교사들이 자유롭게 뜻을 펼칠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하는 일에 더욱 힘쓰고 있다. 학교 안팎의 구조를 개선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펼칠 수 있는 실험과 시도를 통해 우리가 꿈꿔왔던 ‘공교육 새판짜기’를 주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지금이야말로 <춘천사람들>과 같은 지역언론과 시민사회가 이러한 교육의 실험과 시도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좀 더 발칙한 패러다임을 구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초등 선생님의 말씀처럼, 교육을 지도의 틀에 가두지 말고, ‘우리 아이들이 어떤 공간에서 살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어떤 사회적 시스템 속에서 살아가게 할 것인지’를 준비하는 새로운 교육체제로의 전환을 함께 고민하며, ‘교육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책무성을 발휘할 때다. 지금 당장!

김정민 (교사)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