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계탕의 효능은?

삼복을 잘 지내면 청량한 가을을 맞는다고 한다. 무더운 여름날 오히려 땀을 뻘뻘 흘리면서 먹는 뜨거운 음식은 오히려 신체에 개운한 맛을 더해 준다. 반어법으로 “와, 시원하다”라고 하지 않는가. 복중에 먹는 음식은 더위를 이기는 힘을 길러주는 원천이 되어야 한다.

한의학 이론에 의하면 ‘열상기’(熱傷氣)라고 하여 천지(天地)에 가득 찬 열기(熱氣)가 인체의 기(氣)를 상하게 하기 때문에 보기(補氣)를 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민간에서는 복날 더위를 막고, 더위에 상한 몸을 보하기 위해 삼계탕(蔘鷄湯)과 보신탕(補身湯) 등을 먹었다.  

닭과 개를 한 번 보자. 그 두터운 털을 뒤집어쓰고도 염천 뙤약볕 아래서 분주히 왔다 갔다 한다. 더위를 이기는 힘이 강하다. 여기서 발달한 여름철 음식이 맑은 삼계탕, 보신탕, 얼큰한 닭계장 등이다. 그래서 여름에 오히려 기운을 보강하는 여름철 보약이 따로 있는 것이다. 여름철에 오히려 보양기하는 약을 복용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더위로 인해 양기가 밖으로 몰리면서 내부는 허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따뜻한 음식을 통해 양기를 보하는 것이 좋다. 선인들의 ‘이열치열’(以熱治熱)의 방법은 따뜻한 음식으로 허해진 양기를 보해주는 방법이다. 여름철에 허해진 양기를 보하는 대표적인 음식이 삼계탕이다. 영계백숙에 인삼 등을 넣은 것을 삼계탕이라고 하는데, 삼계탕은 닭고기와 인삼이 조화를 이룬 한국 전통의 대표적인 여름철 보양식이다.

삼계탕의 과학성

삼복더위에는 대기온도가 높다. 35도를 웃돈다. 너무 덥다. 땀을 엄청 흘린다. 그래서 수분손실을 막으려고 물을 마시게 되는데 차가운 물을 마시게 된다. 그러나 일순간은 시원하지만 표피가 차가운 기운에 오그라들어 속열은 도망갈 데가 없다.

잠시 후 또 더워진다. 자꾸 반복되면 속이 차가워져 설사나 곽란을 겪게 된다. 이때에는 속열을 풀어야 된다. 바깥으로 열을 흩뜨리는 방법이 정확한 방법이기 때문에 땀을 흘리면 된다. 그래서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속병도 일어날 리 없고 땀을 흘리면서 속열도 풀기 때문에 일석이조가 된다. 피부 바로 밑의 혈관이 확장돼 내부의 열을 혈관을 통해 표피 바깥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한층 시원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더위로 말미암아 기초대사가 높아져 몸이 쉬 가라앉게 된다. 당분이 고갈되고, 근육소모량이 많아진다. 그래서 삼계탕에 찹쌀이 들어가고, 지방이 없는 고단백질의 닭고기가 선택된 것이다. 한의학적인 해석으로 보면 보기(補氣)와 보음(補陰) 두루 다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고 있는 음식인 것이다.

비단 삼계탕만이 그런 것은 아니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뜨겁고 얼큰한 보신탕이나 칼칼한 닭계장, 매운탕 등의 음식이 모두 그런 역량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일어나기 쉬운 배탈이나 설사, 곽란을 사전에 예방하기 때문에 탁월한 것이다. 바로 이열치열의 물리과학적이고도 영양학적인 지혜가 음식의 형태에 고스란히 녹아 있는 것이다.

이준희 시민기자(한의사)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