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지역의 교육문제는 이해 당사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이 나서야 하지만, 지역의 특성상 떨어진 거리만큼 학부모들의 연대나 네트워크 구축이 어려워요. 촘촘한 그물망을 만들어 아이들의 교육과 마을을 지켜야 하는데, 아침에 눈 뜨면 나가 일하고 해가 져야 겨우 집으로 돌아오는 지역의 학부모들은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죠. 그래서 그들을 대변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의무감과 책임감, 저에게는 그게 있는 거죠.”

작은학교 문제는 인구 절벽 문제와 맞닿아 있어 뾰족한 수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경제의 논리로 작은 학교를 마구잡이로 없애는 것은 결코 옳은 일이 아니라는 것이 현 상임이사의 말이다. 이야기를 나누는 내내 심각한 표정으로 지역의 교육을 걱정하는 현 상임이사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 왔다.

“우리나라는 교육 강국입니다. 6·25 때를 생각해 보면 더 확신할 수 있어요. 전쟁 통에도 거적을 깔고 낡은 흑판에 분필 하나로 아이들을 가르쳤던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입니다. 시설이 조금 낡았다 해서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죠. 시설에 투자하는 비용을 조금 줄이더라도 아이들이 마음 편히 자기 지역에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렇다고 무조건 작은 학교를 없애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한 번 없앤 학교를 다시 세우기까지, 또 사라진 학교가 마을에 주는 영향을 생각하면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작은 학교를 살리는 것은 또 한편 단순히 교육의 문제로만 접근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아이들과 마을의 복지와도 연결되는 것이죠. 농어촌 지역의 경우 통학거리가 30Km가 넘는 지역이 꽤 됩니다. 어린 아이들이 학교를 마치면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뛰어 놀며 성장해야 하는데, 통학버스를 타야 하니 아쉬움을 뒤로 하고 버스에 올라야 하니 그런 점도 참 안타깝죠. 단지 시골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그런 기회들을 박탈하면 안 되는 거라고 생각해요.”

강원도의 경우 47%가 6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다. 학교의 소멸은 지방의 소멸을 부른다. 이제는 지역부흥의 흐름으로 바꿔야 한다. 젊은 부부가 찾아오는 마을을 만들고, 도시에서 아이들이 찾아오는 작은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강원교육희망재단이다.

 

 

김애경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