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2030년까지 446~550개소로 늘릴 계획”
인구 42만 전제하면 1인당 면적은 오히려 감소

춘천시가 2030년까지 현재 446개소인 ‘도시공원’, ‘법정녹지’, ‘비 법정녹지’를 550개소로 늘리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는 경관과의 주관으로 지난 1일 춘천시청 대회의실에서 ‘2030 춘천공원녹지 기본계획(안)’에 대해 주민공청회를 열고 변경계획 중인 안에 대해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시 경관과 담당자에 따르면, 각종 공원과 녹지가 중장기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성·관리되고, 관련법에 근거해 춘천 공원녹지 기본계획 입안절차를 밟고 있다는 것이다.

춘천시가 2030 춘천시공원녹지 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지난 1일 오전 10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전문가와 시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청회를 개최해 다양한 의견을 들었다.

이 담당자는 “2030년 쾌적한 도시조성과 시민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공원·녹지에 대한 정비, 확충, 보전, 복원, 가로수 녹화 등의 장기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기본방향은 2016년 기준 383만여㎡인 공원면적을 2030년까지 451만여㎡로 늘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의 기본계획에 따르면 도시공원은 현행 139개소에서 151개소로, 법정녹지는 166개소에서 169개소로, 비 법정녹지는 141개소에서 230개소로 확대된다. 시는 이날 공청회에서 제안된 안과 시의회 의견청취를 통해 나타난 문제를 보완해 이달 중 시 공원위원회 자문을 거쳐 다음 달 승인요청서를 도에 제출하고, 4월에 도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5월 중에 도의 승인을 받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이번 계획안에 따라 춘천의 공원녹지가 숫자와 면적에서는 늘어나지만 1인당 면적은 오히려 2.9㎡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계획안이 2030년 인구 42만을 기준으로 산정되었기 때문이다. 도시공원 면적이 68만3천773㎡로 가장 크게 늘어나 4백51만여㎡로 증가되지만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13.6~10.7㎡로 2.9㎡가 감소될 전망이다. 이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에서 규정한 1인당 6㎡를 넘는 면적이지만 도시공원이 잘 발달한 지자체들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여기에 더해 도심근린공원을 제외한 춘천시의 순수 도시공원 면적은 6.8㎡로 도내에서도 낮은 수준에 속한다. 도내에서는 태백시가 27.4㎡로 가장 많았으며, 원주도 8.0㎡로 춘천보다 많았다. 도내에서 춘천시의 도시공원 확보면적은 11위에 그쳤다. 전국 자치단체의 경우를 보아도 춘천시의 도시공원 면적은 세종시의 6.6%, 부산 중구의 12.4%, 울산 남구의 44%, 서울 중구의 56%에 지나지 않았다. 캠프페이지 면적이 1인당 1.9㎡에 가까운 점을 감안하면 춘천시의 도시공원 면적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지난 1일 열린 공청회에서는 전문가들과 시민들의 의견이 다양하게 개진됐다. 춘천생명의숲 박명순 전 상임대표는 “도시공원 면적이 부족한 춘천시의 상황에서 캠프페이지는 춘천의 가치를 높여주는 최고의 공원이 되어야 한다. 캠프페이지와 공지천을 연결하는 공원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원대 윤영조 교수는 “수변지역을 위한 특화된 공원의 필요성”을 지적하며 “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 시민 참여 공원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원대 최한규 명예교수는 “지역생활권 소외지역과 취약계층 서비스를 강화하는 공원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경관과 정순자 과장은 “의암호와 연계해 지속적으로 공원을 조성해 나갈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겠다”며 “공모를 통해 민간과 시민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고, 도시 숲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확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부처 간 협의가 안 된 안이 제시된 데 따른 문제도 일부 감지됐다. 이번 계획안에 소양로 칠층석탑 주변 역사공원 부지가 제척된 데 대해 도시재생과 담당자가 문제를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경관과 담당자는 “확정된 안이 아니다. 도시재생과와 협의해 역사공원 부지가 제척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전문가와 시민의 의견과 시의회의 의견청취 내용을 최종안에 담아 다음 달 중 도에 승인을 요청하겠다는 입장이다.

 

 

 

 

오동철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