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이 25일 폐막됐다. 3수 만에 개최도시로 선정돼 17년여의 준비기간과 14조원에 이르는 개최비용, 가리왕산 환경훼손 문제 등 많은 논란이 제기되었던 올림픽이다. 강원도가 사활을 걸고 총력을 기울여 개최했던 올림픽이었던 만큼 그 효과에 대한 관심도 클 수밖에 없다.

개막을 앞두기까지 공공기관과 기업, 학교와 단체 등에 입장권 구매열기를 높이기 위해 전전긍긍했다.

우려는 많았지만 결과적으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관중동원도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다. 도민들이 평창동계올림픽에 가장 큰 관심을 가졌던 대목은 경제적 효과와 흑자 올림픽 여부였다. 재정자립도 21.4%로 가난한 강원도가 14조원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을 투입해 준비한 올림픽이라 기대보다는 우려가 컸던 게 사실이다.

그동안 비인기 종목이었던 썰매와 설상경기, 컬링 등에서 좋은 성적을 내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지만, 사실 이번 평창동계올림픽 성공의 주역은 단연 북한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북한의 참가로 인해 평창올림픽은 평화올림픽으로서 국민적 관심은 물론 전 세계의 주목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그렇다면 경제적으로는 어떨까? 흑자 올림픽은 실현되었을까? 아직은 알 수 없다. 관중동원은 거의 100%를 달성했다고 한다. 관람권 수입은 100%를 달성했을 때 약 1천800억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총 투자된 비용의 1.3%에 지나지 않는다.

IOC가 주는 분담금은 당초 예상보다 많은 9천600억여원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여기에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가 거둔 후원금 규모도 거의 1조원 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와 관련 “개막 직전인 지난 달 국회 등에 보고한 제5차 재정계획안에서 대회운영 수입 2조 7천329억원, 지출 2조7천820억원으로 561억원 적자상황이다. 그러나 추가 수입과 불용액에 따른 지출감소 등이 반영되면 최종 적자액은 400억원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런데 강원도가 투입한 총 금액은 14조원인데 지출된 비용이 왜 2조7천820억원뿐이냐는 것이다. 이 비용은 경기장 건설, 대회운영 등 순수 개최비용이고, 총비용 14조원은 대회개최를 위해 투입된 기반시설까지 포함된 금액이다. 도로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투자가 11조원을 넘었다는 말이다. 결국 SOC에도 강원도 예산이 투입된 만큼 이 부분까지 따져야 맞다.

여기에 더해 경기장 사후 활용방안은 아직 매듭도 지어지지 않았다. 경기장 건설과 운영비용 등 3천254억원이 들어간 강릉 스피드스케이트장은 운영수익이 1천억원에 불과해 2천254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을 존치했을 때 연간 운영비는 32억5천400만원으로 추정돼 매년 22억5400만원적자가 예상된다. 강릉 하키센터도 연간 21억4천300만원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건설비용과 해체비용 등 1천억원에 이르는 비용이 투입된 올림픽 스타디움처럼 몇 차례 사용을 위해 천문학적 비용을 투자하고 적자를 안 낼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게 올림픽이라는 지적도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가 수십조에 이른다지만 도민이 체감할지는 미지수다. 최문순 도지사는 이 시설들을 이용해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을 남북이 공동개최하자는 제안을 했다. 그러나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은 규모와 관심도에서 엄청난 차이가 난다. 또다시 강원도가 비용을 감내할 여유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적어도 폐막 직후에 주판알을 튕기려는 이들은 없다. 일단은 성공을 즐기려는 이들뿐이다. 올림픽 헌장은 “올림픽대회는 어느 국가나 개인에 대해서도 인종이나 종교, 또는 정치적인 이유로 차별해서는 안 된다. 올림픽 경기는 개인 간의 경기이지 국가 간의 경기가 아니다. 스포츠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며, 올림픽 대회의 영리성을 배제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올림픽처럼 정치적인 올림픽도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남북문제라는 특수성은 제외하더라도 조금 있으면 여기저기서 계산기 두드리는 소리가 시끄러울 것이다.

오동철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