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마다 되풀이는 지방선거지만 이번 선거는 여느 해보다 활기차다는 평가가 많다. 정치인이나 정당 쪽보다는 시민사회영역 쪽 이야기다.

지난 7일 춘천지역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정책마켓’이 열려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민이 가장 많이 원하는 정책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시민정책모임을 표방하고 나선 ‘체인지 춘천’이 몸짓극장 앞 봄내벼룩시장 한 편에 천막을 펼치고 시장에 나온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사흘 뒤 10일에는 강원지역 단위에서 비슷한 성격의 행사가 개최되었다. 시군 단위 시민사회단체의 도 단위 연대체들이 모여 만든 강원도 시민사회정책제안회가 강원일보·KBS춘천방송총국과 함께 진행한 ‘2018 강원도민 정책제안대회’가 그것이다. 이런 행사에서 수집된 시민들의 정책제안이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된 지역 정치인에 얼마나 수용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지만 다양한 정책을 제안한 것만으로도 과거에 비해 진일보한 움직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선거는 대부분 정당이 메뉴를 제공하면 시민들은 그 메뉴 중 하나를 골라 먹을 수밖에 없는 구도였다. 시민들의 투표 참여율이 해를 거듭할수록 더 떨어진 핵심적인 이유다. 정치권이 제공한 공약이나 정책이 모두 마음에 들지 않아도 울며 겨자 먹기로 그 가운데 하나를 고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의 연속이었다. 최근에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유럽 여러 나라들에서는 정치권이 시민에게 메뉴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정치권에게 먼저 메뉴를 제시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다. 조금 더 멀게는 1960년대 미국에서 기성 언론매체들이 시도한 공공저널리즘(public journalism), 혹은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lism)이라는 시도가 있었고 최근까지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시민저널리즘이란 ‘시민 없는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했다. 공동체에 관심이 있는 시민이 없어지면 그 사회가 아무리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더라도 민주주의는 껍데기에 불과하게 된다. 시민이 없는 민주사회에서는 언론 또한 별달리 필요가 없게 된다.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이 없고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언론매체의 필요성도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언론매체로서는 자신이 살기 위해서라도 시민을 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봉착했다. 여기서 시민에게 정책개발의 주도권을 돌려주고자 창안된 저널리즘 사조가 시민저널리즘이었다. 기존의 보도 관행 속에서는 정치권이 먼저 공약과 정책을 정하고 나면 매체는 이를 시민에게 잘 전달했다. 시민저널리즘은 이를 뒤집었다. 선거가 시작되기 전에 공동체 주민들을 모아 그들이 원하는 정책이 무엇인지 듣고 토론하는 과정을 먼저 시작했다. 수렴된 의견은 보도를 통해 정치권에 전달되고 그 반응은 다시 보도를 통해 주민들에게 알려지는 과정을 통해 시민의 정치 주도권을 회복하고자 했다.

기왕 춘천지역에서 두 개의 정책제안모임이 있었던 만큼 《춘천사람들》은 이 기회를 잘 살려 시민이 정치주도권을 쥘 수 있도록 보도를 통해 정책제안이 실현되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시민이 정치주도권을 쥐고서야 비로소 정치권 냉소주의와 무관심은 해소될 것이고, 그때서야 비로소 한국은 나라다운 나라가 될 것이고 춘천은 사람살기 좋은 고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춘천사람들》의 시민저널리즘 구현에 많은 춘천시민의 동행을 희망한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