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가 물러가고 봄이 짙어지는 계곡에 핑크빛 로망이 다시 한 번 물든다. 물가 바위틈에 피어난 산철쭉이 몽환적이다. 계곡에 비치는 반영이 그러하고, 이를 바라보는 맘도 그러하다.

산철쭉은 산(山)에 사는 철쭉(躑躅)이란 뜻으로, 현재의 국명(國名)은 정태현 등의 《조선식물향명집》(1937)에 의한 것이다. 산지 능선 및 하천 가장자리에서 잘 자라는 반상록성 관목인데, 물을 좋아 하기에 물철쭉이라 부르기도 하고 지역에 따라 수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오히려 산지나 높은 산에는 잘 자라는 것은 철쭉인데, 이름이 뒤바뀐 것 같다. 철쭉은 한자어 척촉(躑躅)에 기원을 두고 텩툑, 텰듁, 쳘듁 등으로 발음이 변화한 것이다. 躑과 躅은 ‘머뭇거리다’라는 뜻인데, 화중서시(花中西施)로 불릴 만큼 절세미인 서시(西施)처럼 그 앞에선 절로 발걸음이 느려질 수밖에 없어서 붙여진 이름일 게다. 산철쭉은 원예품종으로 재배되는 일본산 영산홍(映山紅)과 구분하기 힘들지만, 수술이 10개인 점이 5개인 영산홍과 다른 점 중 하나다.

한반도 고유종으로 북한에서도 산철쭉이라 부르고, 옌벤에선 江湖杜鵑花(jiānghú dùjuānhuā)라 한다. 일본명은 朝鮮山躑躅조선산척촉(チョウセンヤマツツジ, 초-센야마쓰쓰지)이다.

속명 ‘Rhododendron(로도덴드론)’은 그리스어로 ‘장미’를 뜻하는 ‘rhodon’과 ‘나무’를 뜻하는 ‘dendron’이 합쳐져 ‘장미를 닮은 나무’라는 뜻이다. 종소명 ‘yedoense(예도엔세)’는 edo(江戸, 동경의 옛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품종명 poukhanense(포우카넨세)는 ‘북한산(北漢山)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 식물학자 Maxim(Maximowicz, 막시모비치)이 에도지방에서 재배되던 겹산철쭉을 기준으로 이름을 등록했기에 야생종 산철쭉은 품종으로 처리가 되어 이리저리 이름을 뺐긴 꼴이 되었다.

최동기 (식물애호가)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