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가 끝났다.

평소에는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사람들이 90도로 허리를 굽혀가며 주민들에게 한 표를 부탁하는 일은 선거철에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다. 후보들은 현수막을 걸고 공약을 내세우며 사람들을 동원해 구호를 외치는 등 각자 자신들을 알리기에 여념이 없다.

그간 자신들이 해온 이력을 내세우면서 자신만이 지역을 좋게 하고 주민들을 행복하게 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일꾼임을 각인시키려고 애쓰는 모습들을 보면서 우리는 소중한 한 표를 행사 했다.

과연 지역과 지역주민을 위해 적합한 일꾼이라면 어떤 능력을 지녀야 할까? 시각장애인으로서 2001~2012 미국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지낸 강영우 박사는 “오르지 못할 산은 없다”는 교육 에세이에서 사람의 능력에는 심력, 체력, 지력이 있는데, 지력에도 120종이 있다고 했다. 그러니 모든 능력을 갖추고 산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며, 그럴 필요도 없을 것 같다. 다만 자신이 지니고 있는 능력이 무엇인가를 살펴서 개발해 주는 일이 더 중요한 듯하다.

사회를 좋게 하는 으뜸이 되는 능력을 하나 들라면 나는 그것을 공감능력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것은 사회를 좋게 하고자 마음먹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능력이 아닌가 생각한다.

‘공감능력’이란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을 알고 그 감정의 느낌을 같이 느낄 수 있는 능력이다. 상대방으로부터 이해 받고 있다는 느낌은 바로 공감능력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공감능력을 지닌 부모를 둔 가정은 가출자녀가 있을 리 만무하고, 이런 교사가 있는 학교는 학생 문제가 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2002년 당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한 김대중 씨의 후보연설을 듣다가 그에게 한 표를 행사하기로 마음먹었다. 그 이유는 연설의 한 대목이 내 마음을 울렸기 때문이다. 그 내용은 이렇다.

“여러분 내가 대통령이 된다면 장애인으로 하여금 버림받았다는 느낌을 갖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그가 대통령이 돼 나라가 얼마나 달라졌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그는 적어도 사회적 약자가 겪는 고통이 무엇인가를 정확히 짚고 있었다. 그로부터 20년 가까이 지났다. 우리는 매스컴을 통해 장애 학부모들이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는 주민들 앞에 무릎 꿇고 눈물로 호소하는 것을 보았고, 또한 임신한 특수학교 교사가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장애 아동을 돌보기를 꺼려한다는 뉴스도 최근에 접했다. 버림이 다른 것이겠는가? 이러한 행태가 버림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웃이 버림받을 때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공감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지자체의 일꾼으로 나서는 사람에게만 공감능력이 필요한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 모두 각자가 있는 자리에서 사회를 아름답게 하는 일꾼들이 아닌가? 성자는 공감해주는 에너지가 100%에 이르는 사람이라고 한다.

상대방에 공감해주는 능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이 사회를 좋게 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모두가 공감능력에 뛰어난 사람이면 좋겠다. 일꾼으로 자처하고 나선 사람들이야 더 말할 것이 무엇인가!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김호경 (함께하는교회 담임목사)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