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에 따라 국제기준보다 3배 이상 측정돼
자연방사능 아닐 가능성 높아 원인규명 필요

춘천시내 방사능 수치가 국제기준치보다 높다는 측정치가 공개돼 충격을 주고 있다.

라돈침대로 전국이 시끄러운 상황에서 춘천의 실내외 방사능 수치가 높다는 사실이 공개돼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춘천생활방사능감시단은 지난달 31일 춘천지역 225개소의 측정결과를 언론에 공개하고, 직접 측정을 시연해 방사능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것을 입증했다.

지난 21일 춘천시내 석사동 한 아파트 실내에서 측정한 방사능 수치.
바닥 위 1m에서 측정한 수치가 시간당 0.353으로 나타나
국제 기준치의 2.7배를 초과하고 있다.

이날 감시단이 밝힌 자료는 지난 2016년 11월부터 지난달 30일까지 관내 225곳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한 것이다. 감시단이 밝힌 전체 표본(225곳)의 평균 방사능 수치는 시간당 0.323μSv/h(마이크로시버트/시간당)로 편차는 120μSv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 실내거주 바닥 및 바닥으로부터 1m 떨어진 높이에서 측정한 61곳의 방사능 수치는 각각 0.291μSv, 0.276μSv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골재(8곳), 아스팔트(29곳)의 평균 측정치는 0.484μSv, 0.464μSv로 국가방사능 측정소의 측정치보다 3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감시단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춘천사람들》이 제27호~31호에서 연속으로 보도했던 춘천의 방사능 문제가 사실로 드러난 것이라 원인규명이 필요하다.

춘천지역의 방사능 문제를 취재할 당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생활방사선실 장병욱 실장은 “강원도의 경우 산이 많고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방사능 수치가 높은 것이 사실”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장 실장은 “현재로서는 자연방사선과 관련한 기준과 규제가 없는데, 강원도의 경우 수치가 높기는 하지만 염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강원대를 비롯해 도내 14개소 등 전국 128개소에서 실시간 방사선 선량을 측정해 공개하고 있다. 국가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은 “우리나라의 환경방사선량률은 지역과 자연현상에 따라 평상시 대략 0.050μSv/hr~0.300μSv/hr 수준으로 변동하고 있다”고 밝히고, 이 수준을 정상범위라고 표시하고 있다.

골재에서 특히 방사능 수치 높아

감시단 관계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춘천지역 방사능 수치는 연간 피폭 한계치인 1mSv(미리시버트, 시간당 환산 시 0.130μSv) 내외를 기록하고 있지만 춘천지역의 방사능을 측정하는 측정기는 강원대 춘천캠퍼스 내 한 곳뿐이라 시민이 피폭되는 방사능을 측정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감시단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방사능 수치는 건축된 지 30년이 넘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조립식 건축물, 철골 구조물에서 낮게 나오고, 1996년 이후 건축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골재와 아스팔트에서 더 높은 수치가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측되는 방사능이 자연방사능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다.

감시단의 강종윤 부대표는 “대형건물 중 철골구조 건축물과 조립식 판넬 구조물에서는 방사능이 낮게 검측된다. 건축에 사용되는 골재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강 부대표는 “골재가 원인일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춘천의 한 골재생산 업체를 방문해 측정해보려 했으나 업체가 거부해 측정을 진행하지 못했다”며 “짧은 시간 측정기를 켰을 때 방사능 수치가 1μSv/hr를 넘게 나와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춘천지역 방사능 수치가 높다는 주장은 2016년부터 제기됐다. 춘천시에는 라돈에 대해서는 환경과에 담당부서가 있지만 방사능에 대해서는 담당부서도 없다. 감시단 관계자는 “춘천지역 방사능 수치가 지나치게 높게 나오는 것은 분명하다”며 “문제를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부서의 신설, 공론화를 통한 저감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동철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