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원어치의 폭죽을 포함해 전체 10억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지난 6일 열린 제24회 강원도민축제에 대해 뒷말이 많다. 동계올림픽 성공개최를 축하하고 민선7기 출범을 축하한다는 행사였지만, 참석인원은 예상인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적었다. 도민들이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행사를 위해 10억원이 넘는 돈을 쓰고 몇 십분 동안의 짧은 눈요기를 위해 3억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폭죽을 쏘아 올려야 했는가 하는 비판이 뒷말의 골자다.

강원도가 최근 천문학적 규모의 동계올림픽을 치른 탓에 이런 돈이 적게 인식되는지 모르지만 이 돈은 매우 큰돈이다. 행사 개최비용 2조7천820억원, 인프라시설 등 관련 총 비용 14조원이라는 올림픽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10억원이라는 돈은 춘천시가 당초 예산에서 춘천시민 238명을 위해 1년 동안 쓰겠다고 세워놓은 예산과 같다.

도에 예산이 넉넉하니 이 정도의 돈은 기분을 내는 데 쓸 만하다고 강변할지 모르지만 조금만 둘러보면 지금 강원도는 그럴 상황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올림픽의 후유증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지가 가장 큰 걱정거리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하키센터, 올림픽 슬라이딩센터 등 세 개의 경기장에 들어갈 관리비용이 만만치 않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연간 운영비는 32억5천400만원으로 추정돼 매년 22억5천400만원의 적자가 예상되고 강릉 하키센터도 연간 21억4천300만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선수규모 등으로 인해 활용빈도가 낮은 올림픽 슬라이딩센터의 적자규모는 추정하기조차 힘들다. 세 개의 경기장이 국가대표 훈련시설로 쓰여야 하니 중앙정부가 75%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도는 주장하고 있으나 가볍게 해결될 일이 아니다. 지난 5일 환경부가 올림픽 때 알파인스키 경기장으로 사용했던 정선 가리왕산의 생태복원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며 도에 내린 과태료 1천만원의 행정처분은 앞으로의 과정이 얼마나 어려울지 잘 보여주는 사례다.

상황이 이렇듯 열악한데도 도는 동계올림픽 성공개최 기념행사를 이미 4월에 한 차례 치른 적이 있다. 국비 12억원과 도비 12억원을 합해 모두 24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낭비성 예산이 한 쪽으로 새고 있는 동안 도민이 누려야 할 많은 일들은 소홀히 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컨대 도내 공·민영 공연시설 수는 전국의 꼴찌 수준이다(《춘천사람들》119호 9면). 통계청 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도내 공·민영 공연장 개수는 총 40개로 제주도와 함께 절대적인 숫자에 있어서 최하위 수준이다. 인구가 적으니 공연장 수가 적을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으나 이들 공연장이 얼마나 활발하게 공연을 하는지를 살펴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도내 공연장 평균 가동률은 36.5%로, 서울의 87.8%, 경기도의 52.6%에 비해 현저히 낮다. 925회의 공연 건수와 1천741회의 공연 횟수도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지역과 비교했을 때 10배 이상의 큰 격차다.

최근 일부 인하했지만 여전히 국가예산을 들여 지은 재정고속도로에 비해 2천원 정도가 높은 서울-춘천고속도로의 통행료도 도가 더 많은 예산과 노력을 해 하루빨리 정상화해야 할 일이다.

사정이 이러한 데도 도민조차 제대로 즐기지 않는 전시성 행사의 몇 십 분 즐거움을 위해 몇 억원씩 들어가는 폭죽을 터뜨려야 했을까?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