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에 창포 삶은 물로 머리를 감던 풍속을 모르는 이는 없겠으나 실제 창포가 어떤 식물인지 아는 이는 많지 않은 것 같다. 꽃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꽃창포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흔히 볼 수 있는 꽃창포는 붓꽃(Iris)의 일종으로 천남성과인 창포와는 거리가 멀다. 꽃 모양은 전혀 다르지만 잎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서울 도봉역 근처에 서울창포원이란 식물원이 있는데 붓꽃을 잔뜩 심어놓은 붓꽃원이다. 영어이름은 ‘Seoul Iris Garden’이다. 식물원조차 이러하니 일반인이라면 더 헷갈릴 수밖에 없겠다.

창포는 한자명 菖蒲(창포)에 의한 것으로, 명나라의 의서(醫書)인 《本草綱目(본초강목)》에 “창포는 부들의 종류로 창성하기 때문에 창포라 부른다(菖蒲, 乃蒲類之昌盛者 故曰菖蒲)”라는 구절에서 그 이름의 유래를 알 수 있다. 요즘 개념으로 보면 창포는 부들과는 다른 집안이지만 같은 습생(濕生)이고 잎 모양이 비슷하기에 예전엔 같은 부류로 취급한 것이다. 창포는 《조선식물향명집》(1937)에는 ‘장포’로 기록되었고, 《조선식물명집》(1949)에서 ‘창포’로 개칭된 이후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추천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고문헌에 나타나는 창포는 차자(借字)표기로 향약구급방의 ‘消衣亇/松衣亇’가 있는데, 국어학자 남풍현은 ‘숑마(또는 소마)’, 이덕봉은 ‘소리마’로 봤다. 단오를 뜻하는 ‘수리’에 수릿날 사용하는 ‘마(肉質根, 육질근)’에 잇닿아 있는 것이다. 후대 《구급간이방언해》 등에도 ‘菖蒲/숑의마’와 같은 한글표기로 나타나듯이 창포는 단오의 풍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중국과 우리나라 한의학 고전에 나타나는 잎맥이 없는 창포는 오늘날의 석창포(A. gramineus), 잎맥이 발달한 것으로 알려진 석창포는 오늘날 창포(A. calamus)를 지칭한다고 식물학자 신현철 등이 논문에서 밝혔다.

북한에서도 ‘창포’라 부르며, 지방에 따라 제주에선 ‘물채, 창풀’, 경남에선 ‘쟁피’, 경기도에선 ‘장푸, 청푸’ 강원도에선 ‘장포, 장피’라 부르기도 한다. 중국명은 菖蒲(chang pu), 일본명은 ショウブ(菖蒲)로서 세 나라 모두 동일한 한자어를 사용한다. 속명 Acorus(아코루스)는 부정의 의미인 a와 장식의 의미인 coros의 합성어로 꽃이 예쁘지 않다는 뜻이며, 종소명 calamus(칼라무스)는 ‘관(管)의’라는 의미이다.

 

최동기 (식물애호가)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