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시정이 시동을 걸고 본격 가동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재수 시장은 ‘행복한 시민의 정부’를 만들기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준비위원회 안에는 ‘착한도시위원회’가 들어 있다. 착한도시위원회는 모두 6개 분과로 이뤄져 있다.

착한 도시는 누가 만들까?

매일 아침 출근을 하며 마주치는 불편한 풍경이 있다. 터미널 앞인데다 주위에 병원, 마트, 약국, 식당들이 빼곡하게 들어앉은 동네. 이중 주차는 기본이고, 가운데 공간마저 불법주정차 된 차가 온 종일 점령하고 있다. 사람 하나 지나가기도 빠듯한 이 길은 자전거와 휠체어는 지나갈 엄두도 내지 못하고 빙 둘러 돌아가야 하는 곳이다. 보행자를 위한 인도는 늘 자동차에게 우위를 내주고, 그 불편을 우리는 익숙한 듯 받아들인다.

자전거를 타고 움직이는 날도 마찬가지다. 인도와 자전거도로가 병행돼 있는 곳은 사람과 자전거가 엉키기 일쑤고, 일명 ‘개구리 주정차’ 차량이 인도와 자전거 도로를 막은 경우도 허다하다. 보행자를 배려해 도로로 내려가기도 애매하다. 2차로를 점령한 불법 주정차 차량에게는 관대한 운전자들이 자전거에게는 야박하기만 하다. 경적을 울리는 것은 예사고, 심한 경우 갓길로 몰아붙이는 위험천만한 상황도 연출된다.

자동차를 운전하며 느끼는 불편한 상황도 있다. 간혹 응급상황이 벌어지고, 구급차와 소방차가 경적을 울릴 때, 제대로 길을 터주지 못할 때 그렇다. 비켜서 길을 내 줘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어떻게 어디로 비켜서야 할지 막막해지는 경우도 있다.

사람이 사람을 먼저 배려하는 도시가 ‘착한 도시’가 아닐까? 물론 근사한 정책을 만드는 시장과 집행부도 필요하다. 시민들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를 수립하고 그를 실천해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를 만드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스스로 주변을 돌아보고, 함께 살아가는 주변을 아름답게 하는 시민이야 말로 착한 도시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최근 도심 곳곳에서 ‘상상테이블’이 열리고 있다. ‘상상테이블’은 3명 이상의 시민이 장소와 주제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지역의 현안을 시민의 입장에서 이야기하고,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정책을 제시하는 자발적인 모임이다.

이들은 아파트 경비원의 노동인권실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입주민과 경비원이 함께 아파트 공동체의 일원으로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자가용 운전자로서 소방, 응급차량 출동 시 대비방법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작은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량을 위해 불법 주정차 금지와 배려 등의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운전자와 보행자, 자동차와 자전거, 사람과 동물들. 불편을 조금씩 나눠 함께 사는 도시야말로 착한 도시가 아닐까?

김애경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