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기준 춘천시 청년인구는 8만2천명으로 이전 분기보다 1만8천명이 줄어 시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0%에서 29%로 하락했다.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부천은 지난 3월 기준 30만1천743명에서 지난달 기준 28만541명이 되면서 약 2만1천명이 감소했다. 지방이나 수도권 상관없이 청년인구 감소는 지속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일까? 가장 큰 원인은 졸업 후 취업준비를 위한 비용부담이라 본다. 졸업하게 되면 내 고향이 아닌 이상 계속 살아야 할 이유가 없을 뿐더러 주거비용은 고정적인 비용으로 생산능력이 없는 청년에겐 가장 부담스러운 비용이다. 그러나 현재 청년 주거문제 해결방안은 매우 제한적이다. LH 주택공사에서 하는 행복주택이 그 예다. 행복주택은 대학생, 사회 초년생, 신혼부부에게 지원하는 사업이지만, 8만명이란 청년인구가 있는 춘천에서 공급되는 양은 대학생, 사회 초년생 계층을 다 합해 100채밖에 안 된다.

공급량도 그렇지만 점수배점 부분에 있어 지역 거주기간에 따른 점수가 선정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문제다. 학교생활을 위해 춘천으로 왔거나, 춘천에 직장을 구해서 이곳에 온 사회 초년생보다 춘천에서 태어나고 자란 청년들이 공급받을 확률이 더 높다. 결국, 지역출신이 아닌 청년은 잠시 동안 거주하다 다시 고향이나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악순환의 반복이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 그 대안은 바로 유휴공간이자 빈집의 활용이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춘천에는 빈집이 186채가 있으며, 신청사 건축으로 인한 (구)춘천여고는 유휴공간이 되었다. 우리는 이런 공간에 청년이 부담스럽지 않은 조건으로 살아갈 수 있는 주거 공유공간(여러 사람이 주거공간 한 곳에서 역할분담을 해서 살아가는 공간)을 만들 필요가 있다.

다만, 거주하는 청년을 뽑는 기준과 방향에 대해서는 현재 방식과는 다른 차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기준도 동네 주민과의 교류 유무, 동네에 이바지할 재능의 유무 등 이전과 다른 관점으로 다가갈 필요가 있다. 주민으로선 실체 있는 복지를 청년들로부터 체감할 수 있고 청년들로서는 주거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자연스레 지역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지속적인 소통과 만남은 세대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데도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지금 청년들은 좋지 않은 주거환경 속에서 부담스러운 주거비용을 내면서 살아가고 있다. ‘지옥고’(반지하, 옥탑방, 고시원)라는 용어가 그 실상을 대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을 특권 계층화시켜 다른 세대들과 갈등을 만든다는 것은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 청년들이 당연히 받아야 할 권리를 챙겨주고 그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갖도록 요구하는 것이 문제해결의 출발이 아닐까 싶다.

이제는 서로가 신뢰하고 공존하는 복지정책이 필요하다. 서로 도와야 개인과 지역 모두가 성장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청년 주거복지에 대한 관점과 방향에 대해 지역별로 주체적인 고민을 다시 해야 하며 세심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김다솔 (춘천시문화재단 공연서비스 담당)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