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과 관련하여 최근 춘천에서 일어나고 있는 몇 가지 움직임을 보면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기고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소 의아한 측면이 없지 않다.

지난 7일 춘천시청 민방위교육장에서 춘천시의 후원으로 열린 ‘춘천지역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모색 토론회’가 구성된 배경이나 이 자리에서 발표된 내용을 보면 춘천의 나아갈 방향이 그야말로 ‘협동조합 도시’인 듯 보인다. 이재수 시장이 공약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밝힌 바와 같이 춘천은 세계 제일의 협동조합도시가 되기 위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행사에는 이 시장이 객석의 제일 앞자리에 앉아 행사에 힘을 더했다.

토론회에 그치지 않았다. 지난 9일 시 사회적경제과가 밝힌 ‘협동조합 도시’ 관련 향후 일정을 보면 다양한 시책을 연 이어 실현해나가겠다는 의지가 분명해 보인다. 제도적인 지원을 위해 조례를 정비하고 협동조합을 운영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아카데미 개설과 토론회 개최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제시했다. ‘협동조합 연구지원센터’를 설립하여 협동조합의 설립과 확산을 촉진하고 민·관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겠단다. 생계형 자영업자가 많은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협동조합’을 설립하는가 하면 시민 1인 1조합 가입운동도 펼쳐 나가겠다고 했다.

파산직전이었던 대동·대한운수(주)를 인수한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이 인수한 일도 춘천시의 이런 시정 목표와 잘 맞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각도에서 보면 버스회사를 인수한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이 회사인수대금으로 갚아야 할 48억 원을 시가 버스회사의 차고지를 공유재산으로 매입해서 갚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일은 자연스럽다 할 수 있다. 

협동조합이 버스회사를 인수해 운영하는 일은 춘천시민 대부분이 원하고 있는 공영제 실현을 위해서도 좋은 선택이다. 공영제를 지향한다고 만든 다양한 공사가 사실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조직이 완전히 뒤집어지는 바람에 온전히 지속가능한 조직으로서의 일관성을 가져오지 못해 온 경험들을 되새겨보면 관영제가 아닌 공영제를 위해 협동조합을 고려하는 일은 현명한 선택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까지는 협동조합과 관련한 춘천의 전체적인 흐름에 의아한 내용이 없다. 잘 이해가 된다. 그러나 녹색시민협동조합이 주차장 매입에 대한 특혜 의혹, 초기 인수금에 대한 의문, 향후 경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쾌하게 밝히기를 유보하고 있는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 지난 4일 녹색시민협동조합이 임시총회를 열고 의결한 결과에 따라 춘천시장과 시의장에게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의 향후 일정에 대한 알림’이라는 제목으로 지난 7일 보낸 공문에 실린 내용이다. ‘가장 공익적인 운영진을 구성(시민, 노동자, 협동조합, 시민단체, 시, 의회)’하겠다고 하면서도 공문은 ‘공익적 행보를 통해’ 이런 의혹들을 불식시켜 나가겠다는 정도의 애매한 언급을 하고 있다. 

이런 태도에 대해 호혜, 연대, 협동을 기본정신으로 하는 조합과는 조금 조화하기 어려운 내용이라 평가한다면 지나친 것일까? 버스노동자들을 포함해 ‘시민 3만 명을 가입시켜 시민공영성을 확보해나겠다’는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의 목표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 자세라고 지적한다면 몰 합리한 것일까?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