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숙 기자
유은숙 기자

청정지역 춘천은 물 건너간 지 오래다. 공기 질이 나쁠 수밖에 없는 지형적 특성에 지구온난화로 북서풍마저 멈출까 두렵다.

석사동 주거지역에서 벤조피렌 농도가 WHO기준 0.12ng/㎡의 네 배가량을 초과한 것은 물론 울산 등 공업지역보다도 월등히 높다는 기사들이 수년간 지속되고 있다.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벤조피렌은 화학연료가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된다. 공장지대가 없고 청정지역이라고 알려진 춘천의 기대를 저버린 어이없는 수치를 보며 원인을 분석하는 기사들이 나오기도 했다. 《한겨레》신문은 원인으로 닭갈비 등 육류구이가 많은 탓, 북서풍을 타고 북한에서 내려왔을 가능성, 그리고 대기확산을 막는 분지 지형을 꼽았다(2017.02.20.일자). 

이 기사의 링크가 SNS로 공유되며 엄마들 사이 공포심이 확산됐다. 안개가 미세먼지와 합쳐진 스모그의 발생으로 인해 춘천이 호흡기질환자에게 안 좋은 도시라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졌지만 공업도시보다 높은 벤조피렌 농도는 납득이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 와중에 2018년 4월 라돈문제가 또 불거졌다. 화강암지대가 많은 홍천과 춘천 학교 등지에서 폐암의 원인중 하나인 라돈의 농도가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강원도교육청은 대처방법으로 환기를 주문했고 전문가로 이뤄진 조사단으로 재조사를 실시해 더욱 낮은 수치를 도출해 내며 해당 학부모들에게 안심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이를 대책으로 받아들이지 않았고 해당학교를 떠나 전학을 가기도 했다. 이즈음 ‘춘천생활방사능감시단’은 라돈과는 또 다른 방사선이 춘천 곳곳에서 높게 나온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그러나 교육청은 이번에도 생활방사능은 전혀 해롭지 않다는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 생활방사능안전센터의 입을 빌려 논란을 덮기에 급급했다. 

방사선과 라돈은 학교중심으로 논란이 됐지만 여기서 그쳐서는 안 된다. 춘천시와 시민 모두가 벤조피렌, 미세먼지와 함께 복합적 환경문제 전반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안개도시가 분지일 때 오염원 제거가 쉽지 않을 거라는 것쯤은 누구나 짐작할 수 있다. 

미세먼지농도가 ‘매우 나쁨’ 단계면 나오는 ‘저감 대책’은 안하니 못하다는 비난이 먼저 나왔다. 벤조피렌, 라돈, 방사선, 중국 발 미세먼지, 스모그, 분지 지형에 올해처럼 지구 온난화로 북서풍마저 불어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나.

시는 더욱 적극적이고 과감한 방법을 모색하고 더 많은 노력과 비용을 환경문제에 투자해야 한다. 잘못하면 현재의 평판을 뒤집고 춘천이 전국에서 가장 살기 나쁜 도시로 꼽힐 수도 있고, 수천억을 투자한 관광산업과 인구증가, 출산 정책 등의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