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주권위원회 참여분과위원들은 지난 정책박람회의 결과를 놓고 가감 없는 의견을 개진했다. 이들의 평가는 시민주권담당관실의 내부 평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시민주도의 행사를 기획하고 민관 협치 공유의 장을 마련하는 등 의도는 좋았지만 홍보 부족으로 민간단체들과 시민들의 참여가 저조해 관 주도의 일방적인 행사로 끝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시민들이 좋은 정책안들을 많이 갖고 있으니 그것들을 펼칠 수 있도록 첫 행사에서의 아쉬웠던 점들을 보완해 더 나은 행사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 “용역업체가 아니라 시정부·민간단체·시민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기획해야 한다”는 따끔한 의견도 있었다. 

유용준 기자

이민아(교육과나눔 이사)

민관 협치 공유의 장을 시도한 것은 좋았으나 정작 민·관이 정책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다. 무엇보다도 시정부의 각 부서들이 행사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향후 시의 내부 협조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앞으로는 시와 참여단체들이 내용 중심으로 기획회의를 같이 했으면 한다.

이수홍(대한노인회 춘천시지회장)

전체적으로 의도는 좋았으나, 지역 곳곳의 사람들이 참여하지 않아 행사에서 허전함을 느꼈다. 대한노인회 춘천시지회장을 맡고 있는데,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도 거의 없었던 것으로 안다. 앞으로 행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시 담당부서에서 더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전기환(춘천농민회장)

정책박람회를 시도한 것 자체가 의미 있었다. 하지만 행사 당시 부스를 운영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활력이 없어 보였다. 시간 부족으로 행사를 위한 내부적 토론이 없었던 것도 개선해야 할 점 가운데 하나다. 7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민들의 의견을 얼마나 수렴했는지, 또 시민보다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행사가 됐던 것은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

최은예(춘천시민연대 사무국장)

민관 협조가 부족했던 탓에 민·관이 함께 운영해야 할 부스를 관 혼자서 운영하는 모습도 보였다. 시정부의 해당 부서는 해당 단체들에 연락을 해야 하는데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광주는 정책박람회를 위해 민관 협조의 과정에 1년이란 시간을 들인다. 또한 정책박람회는 가지고 있던 정책을 펴는 자리라는 것도 앞으로의 참여자들이 상기했으면 한다.

양진운(강원대 에코피스리더십센터 사무처장)

정책광장토론회는 다양한 분들이 목소리를 내는 의미 있는 장이 됐다. 특히 쓰레기 문제와 자전거 활성화에 대한 토론의 질은 무척 높았다. 진정한 의미의 정책박람회가 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시의 관련부서가 나서야 한다. 

정책박람회에 대한 과정마다의 보고는 물론 후속 점검도 필요하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부스들이 닫혀 있어서 음향 전달도 잘 되지 않았다. 더 많은 소통을 위해서는 부스들이 열려 있어야 한다.

김영희(춘천시 산림조합장)

다른 위원들과 거의 같은 생각이다. 농협을 비롯해 각 기관은 이번 행사와 관련해 거의 연락을 못 받은 것으로 안다. 시의 홍보와 단체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연령층이 너무 단순했다는 점 또한 개선해야 할 점이다.

강성일(전 홍천여고 교장)

사람들이 많이 오지 않았던 것은 인센티브 없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정책박람회에서의 인센티브는 금전적인 어떤 것이 아니라 도움이 되는 정책일 것이다. 정책박람회에 인센티브를 어떻게 녹일지 궁리해야 한다. 학교에 이 행사에 대해 의무적으로 알리는 것도 필요하다.

남궁제정(위원장·YMCA사무총장)

이러한 행사들을 치르면 반드시 경험이 쌓이게 된다. 이 경험들이 누구에게 쌓일 것인지도 생각해 봐야 한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시정부, 참여단체, 시민에게 경험이 쌓이는 것이 아니라 행사를 맡은 용역업체에게만 쌓이는 것 같다. 고민해봐야 할 부분이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