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우 (제주4·3범국민위원회 집행위원장)
박진우 (제주4·3범국민위원회 집행위원장)

2019년 4월 3일 민주주의의 심장인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4·3분향소에 대한민국 경찰청장과 국방부 차관이 참석해 헌화와 사과의 뜻을 밝혔다. 야만적으로 탄압한 지 70여 년 만에 가해 기관의 책임자가 4·3희생자들과 유가족에게 머리를 숙인 것이다.

4·3은 미국의 군인이 이 나라를 통치하던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사건(제주도민 6명 사망)을 기점으로 하며 한국전쟁을 지나 1954년 9월까지 7년 7개월 동안 제주도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경찰과 서북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남쪽만의 단독선거와 단독정부를 반대하는 민심의 표출이기도 했다.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약 350여명)가 도민과 함께 무장봉기를 시작하자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는 이를 명분으로 토벌대(미군정과 이승만정부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군인과 경찰)를 구성해 초토화 작전(UN이 1948년 9월에 금지)으로 제주도민을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제주도민(당시 인구 약 3십만 명) 3만 명에서 많게는 9만 명까지 희생됐다. 미국 군인에 의한 정부(미군정)와 이승만 정부는 공권력(군인과 경찰)을 동원해 제주도민을 조직적으로 학살했다. 민간인을 군사재판에 회부하고, 무장대에게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제주도민을 재판도 없이 곳곳에서 집단으로 살해했다. 젊은 사람이 집에 없다고 가족을 대신 죽이고, 많은 여성들을 겁탈하는 등 야만적인 행태를 자행했다. 

훗날 대한민국 정부가 희생자로 인정한 1만4천256명 중 85%는 공권력인 대한민국 군인과 경찰, 그리고 불법 공권력인 서북청년단에 의해 희생되었고, 13%는 무장대에게 희생된 것으로 밝혀졌다. 2003년 10월 고건 국무총리가 ‘제주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를 확정한 것을 계기로 노무현 대통령이 사과를 하였고, 이명박 대통령이 4·3의 진실을 인정하였으며, 박근혜 대통령이 국가추념일로 지정했다.

올해 1월에는 1949년 당시 민간인을 군사재판에 회부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대한민국 사법부의 판결이 있었으나 70여 년 전에 형무소로 끌려간 3천여 명은 행방불명되어 대부분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70여 년 전 섬 제주에서는 사람 사는 세상을 꿈꾸며, 분단된 두 개의 나라가 아닌 통일된 나라, 하나 된 민족을 외쳤다. 

제주민들의 이런 노력과 희생에 대해 춘천에서는 지난해 4월 팔호광장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의암공원에서 추모공연을 했다. 올해는 춘천미술관에서 4·3 기록전도 함께하며 응원해주었다. 춘천시민들에게 두 손 모아 깊은 감사를 드린다.

키워드
#4·3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