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부족, 업주와의 갈등, 계도 범위 협소 등 나아갈 길 ‘멀어’
흡연실 구비한 카페는 탈선온상이지만 계도활동 대상에선 빠져

지난 26일 춘천시가 계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학교 주변 유해환경 개선 활동’이 있었다.

이날 유해환경 개선 활동은 후평동, 강남동, 약사명동, 남산면(강촌) 등으로 구역을 나눠 진행됐다. 이 가운데에는 춘천시가 직접 공무원을 파견한 곳도 있었고, 춘천YMCA와 ‘동부 디아코니아’에 위탁한 곳도 있었다.

저녁 7시, 후평동 일대에서 유해환경 개선 활동을 할 15명의 사람들이 봉의고등학교 인근 후석로 사거리에 모였다. 2명의 YMCA 유해환경감시단원 및 봉사자들로 구성된 13명의 계도 위원들이었다. 이날 모인 계도 위원들은 후평2동, 후평3동의 주민들이기도 했는데, 이 중에는 시청에 계도 위원으로 등록돼 꾸준히 활동하는 사람도 있었고, 봉사의 목적으로 처음 나온 사람도 있었다. 

이들은 두 팀으로 나뉘어 한신아파트 부근과 호반초등학교 부근에서 유해환경 계도 활동을 수행했다. 호반초등학교 부근으로 가는 팀은 YMCA 직원 1명과 계도 위원 6명으로 구성됐고 나중에 YMCA 직원 1명이 추가 합류했다. 《춘천사람들》은 이 팀과 동행했다.

계도 활동의 일환으로 청소년에게 술·담배를 판매 금지하는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는 계도 위원.
계도 활동의 일환으로 청소년에게 술·담배를 판매 금지하는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는 계도 위원.

이날 활동의 명칭은 ‘유해환경 개선 활동’이었지만, 실제로 유해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만한 활동은 아니었다. 

계도 위원들의 주된 활동은 술·담배를 판매하는 곳 가운데, ‘청소년은 해당 제품을 구입할 수 없다’는 문구의 경고 스티커가 부착되지 않은 업소에 경고 스티커를 붙이는 것이었다.

이 팀은 활동시간으로 주어진 1시간 동안 술집, 음식점, 편의점 등 10여 곳의 업소를 방문했다. 이 가운데에는 술·담배를 판매하지 않아 계도의 필요가 없는 곳도 있었고, 이미 경고 스티커가 잘 붙어 있는 곳도 있었다. 

그러나 경고 스티커를 붙여야 하는 업소임에도 불구하고 스티커 부족으로 계도 위원들이 스티커를 부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편의점처럼 술·담배를 모두 판매하는 곳에는 술·담배 판매를 모두 경고하는 문구의 스티커를, 음식점이나 술집처럼 술만 판매하는 곳에는 술 판매를 경고하는 문구의 스티커를, 노래방처럼 밤 10시 이후 청소년 출입을 제한하는 곳에는 청소년 출입을 경고하는 문구의 스티커를 붙여야 했지만 각 상황에 맞는 스티커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공무원들이 예산이 부족하다고 한다”는 얘기가 위원들 입에서 나왔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닌 듯 했다. 아르바이트 직원들의 경우에는 스티커 부착을 허락할 결정권을 갖고 있지 않아 계도 위원들의 방문에 난색을 표하기도 했다. YMCA의 한 직원은 “유흥업소 등을 방문하면 업주들과 시비가 붙기도 한다”고 했다. “계도 위원들이 대부분 중장년으로 구성된 것은 그나마 시비의 위험이 덜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애로사항들이 있기 때문에 위탁기관이나 계도 위원들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권한을 가진) 공무원이 동행해야 한다”는 얘기가 계도 위원들 사이에서 나왔다.

한계점들도 눈에 띄었다. 많은 학교가 있는 후평동 일대는 흡연실을 구비한 카페들 때문에 청소년 탈선의 온상이 되고 있음에도, 계도 활동은 술·담배를 판매하거나 시간에 따라 청소년 출입 제한이 있는 업소들만을 대상으로 이뤄지게끔 돼 있다.

‘룸 스타일’의 카페에서 청소년 성범죄가 일어나기도 하지만 이를 제재할 방법이 현재로선 마땅치 않다는 점도 지적됐다.

한편, 이날 처음으로 유해환경 개선 활동을 수행했던 일부 계도 위원들은 앞으로도 시정부 및 유관기관과 공조하며 계도 활동에 꾸준히 나설 것을 약속하기도 했다.

유용준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