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4억 투입 영국 브리스틀…1천300명 고용창출로 실업문제 해결
‘재정지원’, ‘자발적 참여’, ‘사회적기업 활동’ 등 3박자 갖춰야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현재 춘천에서도 특히 주거환경이 노후하고, 인구의 고령화 및 감소가 나타나는 약사명동, 근화동, 소양동, 교동, 조운동 등 구도심 일대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이 추진되고 있다.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주민공모 등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 주민 교육, 춘천과 해당 지역에 대한 인문학적 강연 등이 각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에도 아직은 이렇다 할 가시적인 성과가 없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춘천보다 앞서 도시재생을 수행한 해외의 모범사례를 살펴보고 춘천 도시재생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영국의 하트클리프(Hartcliffe)와 위디우드(Withywood)는 모범적 사례 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도시재생 지역이다.

영국 브리스틀 남부 하트클리프와 위디우드 지역의 전경. 사진 제공=커뮤니티러닝웨스트
영국 브리스틀 남부 하트클리프와 위디우드 지역의 전경.       사진 제공=커뮤니티러닝웨스트

하트클리프와 위디우드는 브리스틀 남부 외곽에 위치한 지역으로 1950년대 주변에 큰 공장이 들어서면서 번성했으나, 1980년대부터 공장들이 문을 닫으면서 쇠퇴한 지역이다. 브리스틀에서 한 때 번성했던 담배산업까지 몰락하면서 성인 5명 가운데 3명꼴로 실업자로 전락하는 등 주민들의 실업률은 급격히 증가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지역 공동체 조직인 ‘하트클리프-위디우드 커뮤니티 파트너십(HWCP)’을 구성하고 지난 1998년부터 마을재생에 나섰다. 이 사업에는 도시재생기금(SRB)과 시정부 등의 투자를 통해 3천200만 파운드(현재 환율로 약 474억 원)가 투입됐다.

주민 조직(HWCP)은 도시재생을 위해 커뮤니티, 교통, 청소년, 고용 등에 대한 프로그램 등을 계획함은 물론 도시재생기금의 관리까지 도맡았고, 브리스틀 시정부는 주민들의 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개발 주체와의 합의를 통해 도시 건설에 지역 노동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지역의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했다.

이 도시재생사업으로 과거 담배공장이었던 22.7ha 부지에 대형 매장들이 입점하면서 쇼핑지구가 형성됐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고용 지원이 이뤄지면서 1천300명에 해당하는 고용효과가 창출됐다. ‘임페리얼 파크 재생기금(IPRF)’이라는 새로운 기금도 조성됐다. 이 기금으로 하트클리프와 위디우드 지역을 넘어 남부 브리스틀 12개 지역 주민들의 고용과 훈련을 위해 59만4천 파운드를 지원하기도 했다.

‘하트클리프 앤 위디우드 벤처(HWV)’가 운영하는 커뮤니티 센터. 사진 제공=HWV
‘하트클리프 앤 위디우드 벤처(HWV)’가 운영하는 커뮤니티 센터.       사진 제공=HWV

도시재생을 위해 해당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기업도 설립됐다. 사회적기업 ‘하트클리프 앤 위디우드 벤처(HWV)’는 커뮤니티 센터를 설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공공서비스를 전달하며 구직자를 위한 고용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센터 내에는 유아원, 회의실, 카페, 교육실 등이 마련됐다.

하트클리프와 위디우드의 도시재생을 성공으로 이끈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도시재생 구상, 정부의 재정적 지원, 이들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기업의 실제적 활약이다.

지난 10월 8일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조운동 일대에는 국비, 시비, 도시재생기금 등 총 284억 원의 사업비가 5년간 투입될 예정이다. 이는 하트클리프-위디우드 지역에 약 7년에 걸쳐 투입된 자본에 못 미치는 액수다.

춘천의 도시재생이 모범적인 도시재생이 되기 위해서는 중앙과 시정부의 보다 전폭적인 재정 지원과 더불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다.

유용준 기자

키워드
#도시재생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