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준 기자

《춘천사람들》로부터 함께 일해보자는 제안을 처음 받은 이후, 나의 마음을 가장 움직였던 것은 ‘시민들을 위해 춘천을 보다 나은 곳으로 만들어 보자’는 《춘천사람들》의 목표였다.

지난 1년 3개월 동안의 기간을 되돌아보자면, 그 목표를 망각할 때도 있었고, 그것을 인지하면서도 역량 부족으로 인해 시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할 때도 있었다. 시민들을 위해 일을 했음에도 시정 등에 반영되지 않아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아직까지도 ‘춘천시민들을 위한 더 나은 춘천’이라는 이상향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멀고도 먼 길이 남아있는 듯싶다.

고로 이 기회를 빌려, 더 나은 춘천을 만들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춘천시정부에 재차 하고자 한다.

시정부는 춘천학연구소와 더불어 춘천에 대한 지역사회학(community studies) 교육을 관내 초·중·고·대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시행했으면 좋겠다. 춘천에 대한 정보는 넘치지만 그것들을 인지하고 있는 시민들은 찾기 힘들다. 더 나은 춘천을 만들기 위한 최종적인 주체는 결국 시민들이 돼야 하고 이를 위해선 춘천 지역사회학 교육은 필수적이라는 생각이다. 

그런데 잘 배운 이들이 결국 취업을 위해 외지로 나간다면 춘천에 대한 교육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해당 교육이 의미를 갖기 위해서라도 시정부는 청년들이 춘천에 정주할 수 있도록 일자리를 유치해야 한다.

그리고 이 일자리 유치는, 극소수에게 청년 창업을 이야기하는 방식이 아니라, 최소 5만 명 이상의 춘천시민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산업을 유치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

현재 사회·경제적 흐름을 감안한다면 그것은 ICT·BT 등 첨단산업인 4차 산업이 돼야 할 터인데 정작 춘천시정부는 극소수의 일자리만이 창출되는 산업인 관광업(5차 산업)을 문제해결의 열쇠로 생각하는 듯하다. 4차 산업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한 다른 산업의 뒷받침에 대해서는 관심 없는 듯 보여 안타깝다. 지난 1월 13일 발표된 ‘2040 춘천플랜’에는 경제정책 카테고리가 마련돼 있지 않는 등 경제 분야를 등한시하는 듯한 이재수 시장의 모습도 아쉬웠다.

이제 나는 한 발짝 떨어져 춘천시민으로서, 《춘천사람들》 조합원으로서 춘천의 발전을 지켜보고자 한다. 춘천의 발전을 위해 고군분투할 모든 이들을 응원한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