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수 보고회 열어…2022년 완료 목표
도시개발·환경정책 수립 자료로 활용

춘천시는 지난 2일 도시생태 현황지도 작성용역에 관한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시는 2022년까지 5억여 원을 들여 도시생태 현황지도를 만들 계획이다. 이후 생태보존 지역 선정과 도시 개발 사업의 기초 자료로 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할 방침이다. 이 지도에는 하천과 산림, 토양 등 생태환경 별로 생물의 종류와 서식 밀도 등을 분석한 자료가 담긴다.

서울의 도시생태현황도 중 토지이용현황도. 토지이용도는 현재 토지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가를 나타낸 도면으로 크게 도시화 지역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지역으로 나뉘어진다.       사진 제공=서울도시계획포털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근거 자료인 생태현황지도는 정확성이 생명이다. 따라서 제작 후에도 지속적인 갱신과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2017년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으로 시 이상 지자체에서는 도시생태 현황지도의 제작과 활용이 의무화됐다. 이후 도시환경 정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도시생태 현황지도란

독일에서 처음 제작한 도시지역 비오톱 지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게 작성한 생태지도이다. 비오톱(biotope)은 그리스어로 생명을 의미하는 비오스(bios)와 땅을 의미하는 토포스(topos)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용어이다. 다양한 생물 종의 서식 공간을 구분하는 단위로 이해하면 된다. 

독일은 1970~80년대 베를린의 환경문제가 불거지고 시민환경운동이 활성화되면서 환경보호를 위한 새로운 법안과 환경정책을 잇따라 수립했다. 토지이용계획과 환경생태프로그램이 만들어졌고 ‘환경생태계획학’이 학문으로 정립됐다. ‘도시생태’ 개념도 이 무렵에 등장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환경정보 수요가 증가했다. 그 결과 도시의 생태공간과 환경침해 정도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오톱 지도가 제작됐다. 이후 독일은 이 지도를 바탕으로 자연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며 도심과 녹지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고 있다. 

티어가르텐 대공원은 비오톱 지도를 활용해 생태계를 복원한 사례다. 2차 세계대전 직후 이 공원에는 나무 500그루만이 남아있었다. 비오톱 지도를 활용해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 3만5천 그루의 나무가 자라는 ‘베를린의 허파’로 재탄생했다. 

◇한국의 도시생태 현황지도

환경부는 2015년 말 제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2016~2025)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국토개발행위에 따른 자연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자연환경 관리·복원 및 비용 부담을 위한 ‘자연훼손(침해)조정’ 체계 도입 계획도 담겨 있다. 

환경부는 2017년에는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해 시 이상 지자체에서 도시생태현황지도 제작과 활용을 의무화하도록 규정했다. 아울러 인구 10만 이상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2021년까지 도시생태현황도를 제작해 개발 사업 전후의 자연 침해 정도를 분석하고 제도운영 기반을 마련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2000년 도시생태 현황지도 제작에 나섰던 서울시는 이미 2015년에 제3차 도시생태 현황지도를 공개했다. 2022년 목표로 도시생태 현황지도 제작을 추진하는 춘천시의 발걸음이 더뎌 보이는 이유다.

주강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