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리듬, ‘리드미컬한 낭송을 위하여’

김진규 (강원교육연구소 교육국장)

“내 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주절이 열리고/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하늘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은 몸으로/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두렴”

제목 ‘청포도’에서 음운론적 강세는 ‘청’에 있다. ‘청’의 음절 세기가 강하기 때문이다. 받침이 있는 폐절음에 강세가 붙는다는 어법의 원칙에 따른 것인데, 어법의 원칙도 원칙이려니와 우리가 말을 할 때 누구나 그렇게 말하기 때문이다.

시인명 ‘이육사’는 붙여 읽어야 한다. 성과 이름에서 두 글자든 세 글자든 네 글자든 모두 붙여 읽어야 한다. 성 ‘이’는 강세 없이 장음으로 읽고, 이름 ‘육사’는 ‘육’에 강세를 넣어야 한다. 받침이 있는 음절은 무거운 음절이고, 이 무거운 음절에 강세가 붙기 때문이다.

1연 “내 고장 칠월은/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에서 의미론적 리듬의 강세(굵은 글씨)는, ‘칠월/청포도/시절’에 있다. 칠월에서 ‘칠’의 자음 []과 청포도에서 ‘청’의 자음 []이 반복되며 리듬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반복되는 저 거센 소리(=경음) 경구개파찰음 []을 강조해 낭송해야 한다.

또한 ‘칠월’의 자음 [ㄹ], ‘시절’에서 ‘절’의 자음 [ㄹ]이 반복되며 리듬이 만들어지므로 이 부분에도 역시 의미론적 리듬의 강세를 넣어야 한다.

2연 “이 마이 주이주리고/먼 데 하이 꿈꾸며 알알어와 박혀”는, 자음 [ㄹ]이 촘촘히도 박혔다. [ㄹ]의 반복으로 리듬이 생성된다. 이 음절에도 역시 의미론적 리듬의 강세를 넣어 낭송해야 한다.

2연은 또한 ‘확신’에 찬 태도에서 나오는 어조로 낭송해야 한다.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며 리듬연구자인 권혁웅이 주장하기를 2연의 굵은 글씨 ‘종성 [ㄹ]의 설측음’은, 단단함·결정성·분명함·안정·확신의 어감을 실어 나른다고 했다. 혀끝을 떠받치는 단단한 느낌이 의미와 결부돼 <청포도>의 전반부를 ‘확신’으로 전환시켰다고 한다. ‘칠월’은 청포도가 익는 ‘시’. 계절은 반드시 돌아오듯 필연적 사실이기 때문이다. 2연 1행 “이 ‘마’의 ‘전’이 ‘주이주이’ 리고”에서 보듯 이 땅의 과거가 겹겹이 쌓여 있고, 2연 2행 “하알알어와”에서 보듯이 미래의 희망이 개입돼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제 ‘청포도’가 익듯 ‘청포’를 입은 반가운 손님이 돌아오는 것은 기정사실. 그는 배를 타고 (순풍에 돛을 단 듯이) 밀려서 올 것이며, 나는 “가슴을 열고” 반가이 그를 맞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좀 더 고민해 봐야 할 부분이 있다. 권혁웅은 2연의 ‘열리고’에서 ‘리’의 [ㄹ]은 초성으로 쓰인 탄설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종성으로 쓰인 설측음으로 분석했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는 다르다. ‘전설이’는 [전서]로, 주절이는 [주저]로, ‘알알이’는 [아라리]로, ‘들어와’는 [드와]로 발음된다. 발음할 때는 이렇게 연음법칙에 따라 종성 [ㄹ]이 초성 [ㄹ]로 바뀐다. 따라서 설측음이 아니라, 탄설음으로 발음하게 된다는 것이다. 발음을 할 때 종성의 설측음으로 구현되는 음절은, “이 마을”의 ‘을’, “열리고”의 ‘열’의 두 가지뿐이다.

음성언어로 전환해 발음할 땐, 권혁웅의 주장처럼 설측음으로 구현되는 게 아니라, 탄설음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주장을 모두 다 선뜻 수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의 의미상 확신에 찬 태도의 어조로 낭송해야 하는 것은 백 번 옳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