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에는 오래된 건축물이 드물다. 한국전쟁의 피해가 극심했기 때문이다. 한국전쟁 후 복구 사업이 진행되면서 춘천에 많은 건축물이 세워졌다. 특히 도청 소재지였기에 관청 신축이 신속하게 진행되어서, 1957년부터 강원도청, 춘천시청, 춘성군청이 낙성식을 가졌다. 이후로 63년의 세월이 흘렀다. 춘성군청, 춘천시청사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도청 청사만이 춘천 행정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1896년 8월 지방 행정제도 개편으로 전국이 1부(한성부) 13도제로 개편되면서 관찰부가 있던 춘천이 강원도 수부 도시가 된다. 당시 관찰부 관아는 현재 도청이 위치한 봉의동 15번지 내의 춘천이궁(離宮) 건물을 활용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해 지방 행정조직이 다시 개편되면서 관찰부는 도청으로, 관찰사는 도 장관으로 변경된다. 청사는 관찰부 관아를 이어 사용했으나 이후 지방행정 업무가 증가하면서 신축건물과 기존 건물의 증·개축이 차례로 이어졌다. 

1957년 강원도청 낙성식, 1957년 이승만 대통령 시찰      출처=국가기록원

1940년 2월 22일 도청에 누전에 의한 화재가 발생한다. 본관, 서고, 회의실, 문소각 등 모든 건축물이 전소된다. 화재 이후 복구 계획이 진행되면서 도청 위치에 대한 문제도 불거졌다. 춘천의 유지들이 중심이 돼현재 춘천시 청사 자리로 이전하자는 주장이 제기되는데, 도청을 중심으로 한 상권 확대에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40년 전시 체제하에서 재원의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전소된 위치에 신청사를 신축하는 것으로 확정된다. 

1950년 한국전쟁은 춘천을 폐허로 만들었다. 일제강점기 사용되었던 도청사도 전소되어 새롭게 신축해야 했다. 1955년 9월 기공되어 2년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1957년 10월 30일 준공된다. 이 건물이 현재 강원도청 본관 청사이다. 당시 낙성식을 보도한 ‘대한늬우스’에 따르면 건평 1천600평에 공비 3억 3천만 환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청사 신축과 관련하여 당시 도청에서 근무하던 원낙희 옹의 증언에 따르면 강릉 국회의원 재선 출신인 최헌길 씨가 4대 도지사로 취임하면서 청사 신축이 계획되었다고 한다. 정치인 출신으로 추진력을 발휘하여 도청사 신축도 서둘러 진행했는데, 회계과 영선계의 정인석(鄭仁錫) 계장과 직원들이 직접 설계했다고 한다. 전쟁 직후라 건축의 주요자재인 철근이 부족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세우지 않고 벽돌로 벽체를 만들었는데, 2층 구조였기에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천정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벽돌을 두껍게 쌓았다고 한다. 청사는 본관, 보일러실, 회의실 등 3개 동으로 구성되었는데, 오랫동안 판자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던 직원들이 좋은 업무 환경을 갖춘 신청사에서 근무하면서 좋아하였다고 한다. 

현재 강원도청사는 공간의 협소와 안전 문제로 신축할 것인지, 이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어느 쪽으로 결정되든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극복하고 세워진 강원도청사가 의미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기를 기대한다. 

춘천학연구소(262-5105)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