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환경공원의 ‘쓰레기 다루기’

신동면 혈동리에 자리한 환경공원은 춘천시정부의 자원순환과 생활쓰레기 감량 정책이 맞닿은 현장이다. 환경공원은 그러나 민간업체 위탁과정에서 노사갈등이 불거지면서 애초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올해 말부터 춘천도시공사가 운영을 떠맡은 환경공원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살펴본다.     

환경공원 운영현황   

환경공원 운영을 민간업체에 위탁하면서 4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실직 조합원들이 춘천시정부에 고용 승계 등을 요구하면서 갈등이 빚어졌다. 이후 시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올해 10월 춘천도시공사가 운영을 맡았고 고용 승계도 완료했다. 춘천도시공사 직원인 유진현 씨는 “환경사업소에 재직했던 84명 중 정년이 지난 노동자들을 제외한 67명을 고용승계하고, 20명을 신규 채용해 총 87명이 재직 중”이라고 밝혔다.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공공운영 방식과 노동자들의 근로조건 보장 등 문제의 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2028년에 매립장 포화

혈동리 쓰레기 매립장은 2028년에 포화 상태가 된다. 당초 시는 1인당 쓰레기 발생량에 따라 매립장 사용연한을 2040년으로 계획했지만 쓰레기 발생량이 급증하면서 사용연한이 급감했다. 사용연한이 8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시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해결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추가 소각장을 만들어 매립장에서 파낸 쓰레기를 소각한 다음 다시 묻는 자원순환정비 사업이다. 

두 번째 방법은 춘천시의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시정부는 지난해 6월 ‘Zero waste 춘천, 2450 플랜’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배출·수거시스템을 개선해 2024년까지 쓰레기 배출량을 지금보다 50% 줄이는 사업이다.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일회용 쓰레기도 해결이 시급한 문제다. 환경사업소에 따르면 재활용 폐기물은 2017년 8천487톤, 2018년 1만105톤, 2019년 1만139톤, 2020년 1만451톤으로 증가했다. 

시정부의 해결 방안

시정부는 △주민 주도형 마을쓰레기 책임관리 △자원순환 시민리더 양성 △생활폐기물 집하장지킴이 △일회용품 줄이기 캠페인 △재활용품 전용 수거차량·스티로폼 전용 수거반 운영·네프론(캔·페트 자동 수거기) 보급 등 시민의식 개선 캠페인과 생활쓰레기 줄이기 실천운동을 함께 펼치고 있다.

강윤아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