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까지 1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도시 열섬현상을 없애겠다는 춘천시의 야심 찬 계획이 시민에게 잘 다가가지 못하는 모습이 보여 안타깝다. ‘1억 그루 나무 심기를 위한 2025 2천만 그루 나무 심기 세부 추진 계획(안)’이 발표된 때가 2018년 8월이니 사업을 구체적으로 시작한 지는 2년 반이 지났다. 눈에 보일만 한 두드러진 성과가 나오기에는 이른 시간이라 할 수 있지만, 시민들의 사업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정도의 성과를 내기에는 그리 짧은 시간이라 할 수 없다. 그런데도 지금 시민들에게 1억 그루 나무 심기에 관해 물어보면 대부분 모른다는 반응이다. 길에 나무를 심는 모습을 보고는 ‘남은 예산 소진하기 위해 멀쩡한 나무 베고 새로 나무 심나?’, ‘여기에 갑자기 웬 나무?’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시민은 그렇다 치고 공무원은 다를까? 이 사업을 주도하는 교통환경국 녹지공원과는 확실히 내용을 파악하고 있겠지만 다른 국에 근무하는 공무원은 사정이 어떨까? 그나마 이 ‘1억 그루 나무 심기’ 사업의 한 부분을 맡은 관광과나 건설과 등이라면 조금 낫겠지만 그렇지 않은 과에서는 그리 긍정적인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는 하나의 목표에 연결된 다양한 사업의 가지 수가 워낙 많음에도 개별 사업의 수행이 전체 목표와 연관된 형태로 인지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당장 ‘담장 허물기’ 사업만 하더라도 그렇다. 사업 이름에 담장이 있는 만큼 이를 허문다는 말은 쉽게 이웃과의 소통을 연상하기 쉽다. ‘1억 그루’ 사업과의 연계성을 연상하기에는 많은 설명이 필요하다. 지난해 계획에 따라 1만447주의 나무를 심었지만 이를 통해 열섬현상의 저하를 실감하는 사람은 많지 않아 보인다. 실감이 날 정도가 되려면 데이터상의 변화가 보일 정도의 분명한 차이가 있어야 할 터인데 그런 내용은 찾을 수 없다. 담당 공무원들은 올해 다시 이 사업을 하면서 ‘미세먼지 및 열섬현상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지만, 근거가 될만한 어떤 자료도 내놓지 않았다.

‘1억 그루 나무 심기’와 종종 함께 등장하는 사업이 있다. ‘바람길 녹지축’ 사업이다. 춘천을 둘러싸고 있는 산에서 강으로 바람이 불도록 길을 만들어 더운 공기를 몰아내겠다는 사업이다. 옛 캠프페이지에 조성할 녹지 공원도 바람길의 종착역으로 설정되어 시민들에 청량한 쉼터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구상이 시의 생각이다. 모두가 분지형 춘천시의 열섬현상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사업이다. 그러나 이 두 사업은 종종 상충하는 모습으로 와닿기도 한다. 1억 그루를 심는다고 하니 시내 전체에 빽빽하게 나무를 심어 놓은 결과가 연상되는데 바람길은 시원하게 나무 사이 통로가 생긴 모습이 연상되기 때문이다 

춘천시는 ‘2050 1억 그루 나무 심기’를 성공시키기 위해 지난해 9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숲의 이름을 ‘봄 내림’으로 정했다. 올해부터는 시민 주도성을 드높여 참여를 유도하고자 시민활동가를 모집해 운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반려나무 갖기 운동’, ‘시민주도 춘천가꾸기사업’ 등 시민참여 사업 자문위원으로 활동한다고 한다. 이런 노력도 필요하다. 하지만 전체 큰 그림을 관장할 전담기구의 설치와 업무의 연속성이 보장되는 인력배치가 필수적이다. 이럴 때만이 지속해서 ‘1억 그루와 열섬현상 저하’라는 큰 목표가 개별사업 때마다 지속해서 노출될 수 있어 시민의 공감대가 빠르게 커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