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비판적 대안언론’ 목소리 높아
응답자의 62.6%, “행정 및 정책에 대한 감시와 비판” 가장 중요

시민과의 동행을 내세우며 2015년 11월 창간해 올해 6년 차에 접어든 《춘천사람들》에 대해 조합원들이 따가운 눈총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춘천사람들》은 지난 2월 총회를 통해 발행인 및 일부 이사진의 개편 이후 지면개편을 준비하면서 조합원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5일까지 7일간 조합원을 대상으로 신문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조합원의 20%에 해당하는 112명의 조합원이 응답했다.

‘읽을 게 없다’

조합원들은 《춘천사람들》의 문제점으로 “깊이 있는 기획기사나 탐사보도가 없다”(29.5%), “감시와 비판의 역할이 보이지 않는다”(27.6%), “ 정보가 다양하지 않다”(19.0%), “현장감이 느껴지는 기사가 없다”(18.1%)의 순으로 의견을 나타냈다.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복수응답)에 대해서는 “필진의 다양성”(27.0%)과 “기사의 질”(26.0%)을 꼽았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읽을 게 없다는 말이다. 지자체나 기관에서 뿌리는 보도자료에 의존해 기사를 쓰는 것에 대한 볼멘소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나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춘천사람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느냐는 물음에 대한 답변에서 더 두드러진다. 가장 많은 조합원들이 “지자체 행정 및 정책에 대한 감시의 기능”(25.7%)을 꼽았고, 다음으로 “춘천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21.4%)를 꼽았다. 다만, 응답자의 30%가 넘는 38명이 시민기자나 통신원으로 참여하겠다고 의사를 밝혀 ‘참여와 협동으로 만드는 신문’에 대한 불씨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은 그나마 작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초심을 잃지 말고 혁신해야

《춘천사람들》은 시민의 참여로 만들어진 협동조합형 지역언론이다. 지역언론의 제1의 사명은 지역사회의 공론과 소통의 장으로서 지방권력을 감시·비판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일이다. 그러나 《춘천사람들》은 어느 순간부터 대안적 지역언론의 색깔을 잃었다는 비판에 직면하기 시작했다. 이번 조합원 설문조사를 통해 그간 제기됐던 비판의 목소리가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합원의 바람과는 달리 보도자료 위주의 기사를 생산하면서 지자체의 홍보지가 아니냐는 손가락질을 받은 점은 뼈아픈 것이었다.

창간 초기에 열성적으로 참여했던 한 조합원은 “창립부터 최근까지 함께해 온 조합원이었지만 언제부터인가 시정 홍보지인 듯한 느낌이 많습니다. 최근 치러진 서울·부산시장 선거에서 주류 언론사들의 행태에 광분했는데 《춘천사람들》의 최근 모습에 적잖이 실망이다”라고 말했다.

《춘천사람들》은 춘천시민언론협동조합이 발행하는 춘천지역 유일의 지역신문이다. 춘천시민언론협동조합은 춘천시민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해 만든 언론기관이다. 창립선언문에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시민의 신문”을 만들겠다는 각오가 명문화되어 있다.

지역언론의 환경은 갈수록 각박해지고 있다. 지자체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단순히 시정을 홍보하는 것을 넘어 저널리즘의 기능까지 넘보고 있으며, 지역의 상업자본은 막대한 물량공세로 가뜩이나 비좁은 언론시장을 잠식해 가고 있다. 권력과 자본의 틈바구니에서 시민언론이 고사하지 않고 생존하기 위해서는 오직 조합원의 참여와 협동을 기반으로 해서 그 초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 《춘천사람들》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조합원들의 뜻을 무겁게 받아들여 제2의 창간정신으로 혁신에 혁신을 거듭할 것을 다짐한다.

이창래 편집국장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