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일 기자

전동킥보드를 타고 다니는 시민들과 곳곳에 주차된 공유 전동킥보드는 이제 흔한 풍경이다.

그런데 킥보드의 역사는 아주 오래됐다. 현대적 전동킥보드의 시초는 1915년 뉴욕의 ‘오토패드컴퍼니’가 제작한 ‘오토패드’다. 하지만 강화된 교통법규와 청소년 운전 규제, 자동차산업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전동킥보드는 잊혀졌다.

한 세기가 지나 다시 붐이 일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2020년 10월 기준 한국의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115만명이다. ‘킥고잉’, ‘씽씽’ 등 20여 개 기업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전동킥보드 하면 부정적인 인식이 앞서는 게 현실이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개인용 이동장치 관련 교통사고 건수는 2017년 117건에서 2019년 447건, 사상자수는 128명에서 481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사망자수도 2018년 4명에서 2019년 8명으로 늘었다.

이에 정부는 개정 도로교통법으로 이용 자격 및 연령을 강화했다. 만 16세 이상부터 취득할 수 있는 제2종 원동기면허 이상의 면허를 보유해야 한다. 무면허 운전자는 10만 원의 벌금을 내야 하며 만 13세 이하 어린이가 개인용 이동장치를 운전할 경우 보호자가 처벌을 받는 규정이 신설됐고 헬멧 착용, 2인 탑승도 강력 단속한다. 경찰청은 개인용 이동장치 전용 면허 신설을 추진중이다. 100년 전의 상황과 유사하다. 관련 정책 및 규제가 기술 활성화를 위해 산업적으로 접근할지, 아니면 교통안전 행정으로만 접근할지에 따라서 산업의 흥망이 갈린다.

전동킥보드만 위험할까? 사실 모든 교통수단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교통에 있어서는 ‘갑’인 자동차만을 위한 정책으로는 득보다 실이 더 크다. 전동킥보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자동차의 1~2%에 불과하고 고령자와 신체적 약자의 차세대 이동수단, 스마트시티 조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시민과 관광객들은 오래전부터 춘천 도심의 대중교통과 주차 불편 등을 언급해왔다. 그런 면에서 공유 전동킥보드는 춘천에 적합한 교통수단이다. 경제적이고 편리해서 대중교통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다. 나 홀로 운전만 줄여도 많은 에너지를 줄여서 환경에도 좋다. 주행 데이터를 가공해서 춘천의 도로 관리와 관광 인프라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전동킥보드가 주요 교통수단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세종시도 공유 전동킥보드 같은 개인용 이동장치를 주요 교통수단으로 삼고 있다.

이런 생각에 동의하건 하지 않건, 춘천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공유 전동킥보드의 이용자는 늘고 있다. 하지만 공유 전동킥보드 사업은 등록만 하면 자유롭게 영업할 수 있기에 관리의 사각지대에 머물고 있다. 춘천시의 기민한 대처가 필요하다. 춘천시 생활교통과는 조만간 관내 5개 업체의 춘천지사 담당자들을 모아 현황파악에 나선다고 한다. 안전과 관련된 민원해결에 머물지 말고 스마트시티 구축 차원의 첫걸음이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