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2019년 발표한 ‘폐지수집 노인 실태에 관한 기초연구’에 따르면 폐지수집 노인 중 75~79세가 28.46%로 가장 많았으며, 70~74세(24.28%), 65~69세(18.36%)가 뒤를 이었다. 성별은 여성 51.60%, 남성 48.40%였다. 가구 유형은 노인 부부가 49.45%로 가장 많았으며, 독거(33.16%), 자녀동거(14.05%)가 뒤를 이었다.

폐지를 줍는 이유로 ‘생계비 마련’이라고 응답한 노인은 68%였으며, ‘용돈이 필요해서’(24.92%), ‘건강유지’(5.56%) 순이었다.

폐지수집 노인 중 기초연금 수급자는 92.24%였고, 폐지수집 노인의 저학력자 비중은 78.3%로 이는 폐지수집 노인 다수가 저학력으로 인해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일을 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 준다.

폐지수집 노인은 현재 일 만족도에 대해 40%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변했고, 불만족 이유에 대해 77.98%가 낮은 급여(소득) 수준을 꼽았다. 

폐지수집 노인이 폐지수집을 하기 이전에 가장 오랫동안 했던 일을 그만둔 이유는 ‘정리해고, 명예퇴직, 폐업, 휴업’(30.14%)으로 가장 많았고, ‘건강이 좋지 않아서’(25.33%), ‘정년퇴직’(6.32%)이 뒤를 이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 폐지수집 노인 중 77.42%가 참여를 신청한 적이 없다고 답했고, 참여 희망자 21.26% 중 62.07%가 공공시설 봉사를 희망했다. 

타 지자체 폐지수집 노인 관련 정책

타 지자체에서는 현재 폐지 줍는 노인을 위해 안전 야광 조끼 등의 안전용품을 지원하고, 관련 조례를 만드는 등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용인시 안전용품 지원

용인시는 경기도의 보조사업으로 2016년부터 폐지를 주우며 생활하는 노인에게 안전용품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도 지난 7월 지역 내 폐지를 줍는 노인에게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용품(손수레·야광조끼 등)을 지원했다. 겨울에도 방한화와 장갑, 귀마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구광역시 조례제정·거점수거함·착한 손수레 사업 등 활발

대구광역시는 올해 3월부터 폐지나 고철을 모아 고물상에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노인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올해 4월 기준 대구의 폐지 줍는 노인은 모두 1천72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지난해 7월 대구시의회 김재우 의원이 발의한 ‘대구시 재활용 가능 자원 수집인 안전에 관한 지원조례’를 근거로, 폐지 줍는 노인에게 안전 야광조끼 총 1천72벌을 지난달에 지급했다.

대구광역시의 전체적인 지원과 별개로 각 구별로도 개별적인 정책과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7월 대구 남구는 폐지 줍는 노인을 위한 ‘종이박스 전용 거점수거함’을 시범 설치했다. ‘거점수거함’은 안전하게 종이박스를 수거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재활용품 선별업체나 환경미화원 등이 수거한 종이박스를 거점수거함에 넣으면 폐지 줍는 노인이 수거해 판매할 수 있다. 대구 수성구는 ‘착한 손수레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착한 손수레’는 특수 제작한 리어카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존 리어카보다 무게가 절반이나 가볍다. 또 리어카 옆면에 광고를 부착해 업체 광고비로 폐지 줍는 노인들을 후원하며, 밤길 안전을 위해 리어카에 후방 반사판도 부착했다. 

춘천시 폐지줍는 노인 실태 파악·정책 마련 서둘러야

폐지 줍는 노인들의 경우, 정보의 부재로 인해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때문에 노인들이 폐지 줍는 것 이외에 다른 소득원을 찾을 수 있도록 연계해주는 것이 우선 대책이 되어야 한다. 폐지 줍는 노인들을 지역사회의 우선 보호 대상으로 삼고, 이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밀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폐지 줍는 노인들은 교통안전이 확보되지 않은 차도에서 폐지를 수집한다. 노인들의 폐지 운반수단인 리어카는 현행 도로교통법상으로 차종으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차도로 다니지 않을 시 부과되는 범칙금은 3만 원이다. 이에 도로의 위험한 환경에 노출된 노인을 위한 안전 대책 또한 필요할 것이다. 

전은정·장수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