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촌 주최 ‘문학진흥법 시대, 공립문학관의 길’에서 제기
“전문인력 양성 국제교류 위해 독립적인 재단법인화 필요”

김유정문학촌이 지난 19일 세종호텔에서 ‘문학진흥법 시대, 공립문학관의 길’을 주제로 문학진흥포럼을 열었다.

김유정문학촌은 2002년 8월 김유정 작가의 생가터에 문을 연 이래 김유정 4대 문학상을 제정해 제2의 김유정을 배출할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해왔다. 김유정 소설의 무대인 실레마을을 스토리빌리지로 개발함으로써 지역문화예술의 거점이 됨과 동시에 지역 경제 활성화 역할에도 한몫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문학진흥법’에 의해 강원도 제1호 등록 공립문학관이 됐으며, 내년이면 개관 20주년을 맞는 한국의 대표 문학관 중 한 곳이다. 포럼은 문학진흥법을 토대로 김유정문학촌을 비롯해 전국 100여 개 문학관의 운영상황을 짚어보고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위한 방향을 모색했다.

포럼에서 김유정문학촌의 재도약을 위해 독립적인 재단법인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김유정문학촌 재단법인화로 재도약해야”

이날 포럼에서는 “김유정문학촌이 재도약하려면 재단법인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김혁수 춘천문화재단 이사는 “한국의 많은 문학관들이 지역 문학인들의 사랑방, 고인을 위한 추모공간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예산과 전문인력 부족도 문제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문학관이 그 지역 안에 갇혀 있어서 비전과 전략, 경쟁력을 키우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유정문학촌도 작가 이름을 딴 전국 유일의 기차역, 생가, ‘책과 인쇄박물관’, 실레마을 등 뛰어난 인프라를 갖췄지만 정체되어 있다. 내년 개관 20주년을 맞아 더 발전하려면 재단법인으로 가야한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핵심은 예산과 인력을 어떻게 잘 쓰냐는 건데, 위탁기관은 수행에 국한되어 주어진 기간 동안 별문제 없이 그저 잘 관리하는 것에만 집중할 수밖에 없다. 반면 재단법인은 독립성·자율성을 갖고 중장기 정책 수립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수행이 가능하다. 물론 재단법인도 완벽한 대안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문제를 극복하려면 그 길이 맞다”라고 강조했다.

하창수 작가도 “문학진흥법 제4장 16조 2항에는 ‘공립문학관을 지자체가 설립·운영하는 문학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법인으로 설립하거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연한 법인이 설립한 문학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문학진흥법 시행령 제8조는 ‘해외 진출 및 국제교류 그리고 남북문학 교류를 위한 조사 연구 및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김유정의 자료가 생각만큼 많이 없다. 김유정과 교류했던 작가들 상당수가 월북했는데, 남북교류를 통해서 김유정 자료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위탁운영으로는 이런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한불문화연구소와 교류하며 김유정 작품을 프랑스에 소개하는 중에 알퐁스도데 문학관과 교류 이야기가 나왔다. 이런 해외사업을 기획·추진할 때도 위탁 하의 보조금으로는 제대로 추진해서 성과를 내기 어렵다. 하지만 재단화를 통해 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

허준구 춘천학연구소장도 “법인화를 통해 전문가를 키워 지역에 머물지 않고 국제교류까지 나아가야 한다. 법인화로 가기 위해 춘천시 지원조례 개정도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중론도 제기됐다. 정우영 시인은 “공립문학관 중 재단법인화 된 곳이 하나도 없다. 과연 법인화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법인화가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잘 살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2015년 문학진흥법을 대표 발의한 도종환 국회의원은 “문학촌이 재단법인화로 가는 것을 긍정적으로 본다. 문학진흥법 제4장 16조 2항이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전례가 없는 만큼 꼼꼼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이날 포럼에서는 문학진흥법의 바람직한 실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보삼 (사)한국문학관협회장이 ‘문학진흥법 시대 문학관의 위상과 기능’, 정우영 시인은 “문학관 네트워크와 운영에 관한 소견’, 김종회 문학평론가 겸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촌장이 ‘한국 문학진흥 정책의 진단과 방향’을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 또한 고영직 문학평론가와 도종환 의원의 대담을 비롯하여 최재봉 한겨레신문 기자, 허준구 춘천학연구소장 등이 참여하여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박종일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