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가 저물어 가고 있다. 그것도 코로나시대의 두 번째 해가 넘어가고 있는 것이다. 지는 것은 해 뿐만이 아니다. 세계 경제 뿐만이 아니라 나라의 경제도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니 Street Corner Society인 골목사회의 지역 골목 경제는 물어보지 않아도 사정이 뻔하지 않겠는가?

예전에는 골목상권의 위기라고 하면, 주로 주택가의 골목에 위치한 소형 슈퍼마켓이나 재래시장이 대형 마켓이나 백화점이 들어서면서 처한 어려움을 뜻하였다. 그러나 코로나 시대의 골목상권은 질적으로, 양적으로 다른 위기를 맞고 있다. 주로 소상공인에 해당하는 이들은 임대료와 인건비 부담과 더불어 소비 감소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물론 위기상황에 아랑곳하지 않고 잘되는 집은 잘된다는 말도 들린다. 그러나 그것은 극히 일부의 예외적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국가나 지자체의 대책이 근시안적 차원을 벗어나야 한다. 재난지원금 몇 푼으로 살아날 수 있는 골목상권, 골목 경제가 아니다. 

코로나로 직격탄을 맞은 골목 경제는 위드코로나가 되어도 좀처럼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위드코로나 시행 이후 배민과 쿠팡이츠의 하루 사용자 수가 그 전에 비해 20%가 감소했다고 하지만, 그 감소폭이 그렇다고 골목상권으로 옮아 온 것 같지도 않다. 당연히 사람들은 그 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과 더 긴 시간을 밖에 머무르며 더 많은 모임을 한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최근 코로나 상황도 심상치 않고, 정부도 사적 모임 제한을 강화하는 움직임 속에 연말연시의 특수도 사라질 조짐이다.   

코로나 2년여 기간 동안 골목에서 어떤 가게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골목경제를 회복시키는 디딤돌이 될 수 있다. 일단 코로나 기간 중에도 건재할 수 있는 골목상권은 수요가 일정하게 존재하는 곳들이다. 수요가 늘상 있는 곳으로, 직장인을 비롯한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거나 거주인구가 많은 주택가의 상권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소비 차원의 수요와 공급 문제에서 논의되는 것이지 지자체의 정책에서 다룰 성질의 것이 아니다. 소비는 늘리고자 한다고 해서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 전반적인 거시경제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제 위드코로나가 시행되면서 골목경제와 골목상권은 예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을까? 결코 낙관할 수 없다. 그 전부터 존재하던 소상공인의 자영업 전반의 문제부터 살펴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 동안 힘들었던 이태원 같은 유흥, 관광 상권들이 위드코로나로 되살아나는 듯하지만, 그것 또한 서울의 거대 골목상권의 이야기다. 지방 중소도시의 골목상권은 침체가 아니라 죽어가고 있다. 정부의 일률적인 대책도 문제지만, 지자체가 그들 스스로 대책다운 대책을 만들어 나가지 못하는 것도 문제이다. 언제까지 재원부족만 탓할 것인가? 대선을 앞두고도 우리들이 실제 살아가고 숨쉬는 골목사회, 골목경제에 대한 의제가 없어서 하는 소리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