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구도심·농촌 살피고 지역 개방성 높여야
전문가들 ‘시민 행복도 조사’에 발전적 제안 쏟아내

지난 24일 춘천사회혁신센터에서 ‘시민이 행복한 춘천만들기’ 심포지엄이 열렸다.

심포지엄은 지역 각 분야 전문가들이, 최근 춘천시와 한림대가 발표한 ‘춘천시민 행복도 조사’(《춘천사람들》307호 4면 상세 소개) 결과에 대해 토론하고, 발전적 제안을 내놓는 자리였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시민 행복을 위한 발전적 제안을 쏟아냈다.

이번 조사(지난해 10월 14일부터 한 달 동안 시민 1천71명 1:1 면접 조사)에서 춘천시민의 행복도 평균 점수는 3.33점(5점 만점)으로, 2020년 3.11점에서 0.22점 상승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김미영 한림대 교수는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춘천시와 시민이 삶의 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있지만, ‌‌‌세대·‌성·‌‌소득·‌직업·‌학력·‌‌지역 ‌등에 따라 나타나는 행복지수 편차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농촌 지역 의료 서비스 및 생활 인프라 접근성 개선 등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김영범 한림대 교수는 “행복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관계망이 중요하다. 나이가 많을수록 사회관계망이 줄어든다. 지역에서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약화된 사회관계망을 보완하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기원 한림대 교수는 “우리는 항상 남과 비교해 더 높은 위치를 원하는데, 춘천만의 지역 정체성을 확립해 수도권과의 비교에서 벗어나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충익 강원대 교수는 “지역 선호도 조사를 해보면 춘천에 대한 인식이 원주, 강릉보다 높은데 실제로는 원주의 인구가 더 많이 늘고 있다. 춘천시가 외지인 유입을 위한 수용성, 융통성, 포용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안동규 한림대 교수는 “시민의 행복 총량을 늘리려면 우선 소외계층에게 더 많은 지원을 해야한다. 춘천을 드나드는 관문 전광판 등에 춘천의 행복지수를 상시 노출 시킬 필요도 있다.” 이승희 울산대 교수는 “고립되지 않는 게 중요하다. 1인 가구가 가파르게 늘어나는 상황이다. 춘천시도 ‘병원 안심 동행서비스’를 도입해야 한다. 농촌 지역과 취약계층을 넘어 젊은 1인 가구까지도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박정환 춘천사회혁신센터장은 “행복수준을 높이려면 시민들이 일상에서 성취감을 얻고 성공하는 경험이 늘어야 한다. 앞으로 사회혁신센터에서는 그런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펼쳐가겠다.” 조경자 춘천시 협동조합지원센터장은 “공동체 활성화로 사회관계망의 질을 높여 소득이 낮아도 행복할 수 있어야 한다.” 윤요왕 마을자치지원센터장은 “다음 조사에는 아동·청소년도 조사대상에 포함해야 한다.” 김지숙 시의원은 “그동안 시의 정책이 도심 중심이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고 청년들의 정책 결정 과정 참여를 더 늘려야 한다. 행복도 조사에 시민의 행정만족도 항목도 넣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부서 간 협업을 높일 포인트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허소영 도의원은 “영국에서 2018년 외로움 문제를 담당하는 장관이 임명돼 주목을 받았다. 춘천에는 행복 지표 동향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을 발굴하는 업무를 맡을 행복 부시장을 도입하자. 또 이번 조사에 참여한 패널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와 농촌 지역 중 행복도가 높은 지역에 대해 그 이유를 면밀하게 살피는 사례연구도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재수 시장은 “지역사회에서 행복지수를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이번 결과가 시민이 느끼는 행복을 진짜 제대로 담아냈는지 염려도 있지만, 행복지수가 정책을 만들어가는 기준일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행복함을 표현할 수 있는 지표로 자리 잡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민선 7기 춘천시의 다양한 정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행복’이다. ‘시민 행복도 조사’가 갖는 의미는 시민 모두가 행복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토대라는 점이다. 그 의미에 걸맞게 심포지엄에서는 학자, 언론인, 시·도의원, 기관장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발전적 제안을 쏟아냈다. 다만 한가지, 설문 조사에 참여한 시민들과 다양한 사업으로 시민과 만남이 빈번한 중간지원조직 실무자·활동가들도 참석하여 생생한 목소리를 전했다면 더 뜻깊은 자리가 됐을 것이다.

박종일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