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는 오랫동안 인구 30만 달성을 목표로 여러 정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이 목표에 도달하려면 9천여 명이 더 필요하다. 어떻게 하면 춘천의 인구가 늘어날 수 있을까? 열 명의 시민들에게 물었다.

지난달 22일 매달 ‘중도 걷기’ 행사를 이끄는 마임이스트 유진규(71) 씨는 ‘인구 30만 늘리기’에 대해 분명한 어조로 반대했다. 인구가 늘어날수록 시민들의 삶이 행복과는 거리가 멀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굳이 인구를 늘려야 한다면 춘천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 등 지역의 특색을 잘 살려 차별성을 드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2023 기후 살리기 춘천시민의 날’ 행사가 열리는 시청광장에서 만난 50대의 후평동 주민 황별꽃 씨는 “곳곳의 녹지가 사라지고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 춘천이 춘천다움을 잃었다”라면서 오히려 인구 유입에 방해가 되는 것 아닌가 반문했다. 햇빛시민발전협동조합 부스를 운영하는 길정수(48·석사동) 씨도 “〈도시 이미지 분석연구(2011년)〉에서 춘천은 자연친화적인 도시, 레저·휴양 도시, 문화도시, 축제와 테마파크 도시라는 네 가지 도시 이미지가 도출되었다”라면서 “춘천의 미래도시 모델은 ‘에너지 자립도시’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 옆 부스의 강상석(46·옥천동) 씨도 비슷하게 답했다. 강 씨는 “인구가 늘고 주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라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정부로부터 얻게 되는 재정지원을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사용해야 하는데 오히려 그 반대 방향으로 쓰일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23일 일요일, 춘천교육문화관에서 만난 70대 김영한(효자동 낙원아파트) 씨는 “큰 기업이 없어 인구가 늘지 않는다”라고 진단하면서 “인구 30만 늘리기는 일단 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씨는 “캠프페이지가 공터가 된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그 모양이냐”면서 춘천시에 대해 상당히 못마땅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보행기를 앞에 두고 명동길 중앙 벤치에 앉아 쉬는 약사동 주민 이현호(65) 씨는 “명동 지하상가 건설, 시외버스터미널 이전, 육림고개 활성화 등의 정책들이 돈 많은 외지인에게만 좋을 뿐 서민들의 삶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뇌출혈로 쓰러졌다는 그는 인구 30만 캠페인은 좋지만, 돈을 써서 주소지를 옮기게 하는 방식은 잘못된 것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 퇴직 공무원 출신의 석사동 주민 최수현(66) 씨 또한, 외지 출신 대학생에게 현금 혜택을 주는 식의 정책에 대해 의문을 표하면서 “그런 돈이 있으면 어려운 노인들의 생계에 보탬이 되게 하는 게 더 낫다”라고 말했다. 옛날 다방에서 혼자 차를 마시던 조양동 주민 김동겸(65) 씨는 오랫동안 조양동사무소에서 근무했다면서 춘천시의 정책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24일 중앙시장에서 중식당을 운영하는 근화동 주민 설영남(64) 씨는 춘천시의 정책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그럴듯한 일자리가 없으니 그렇게라도 해야 하지 않겠냐는 것. 그러나 풍물시장 이전이나 새로운 아웃렛 허가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춘천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김상진 사무국장은 춘천시의 인구정책이 결국에는 인근 농촌의 인구만 유입하는 꼴이 돼 농촌 지역의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현금으로 외지 대학생들의 주소를 옮기게 하는 정책은 근본적인 인구 증가 방책이 못 된다며 반대했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