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아 (금병초등학교 교사)
박정아 (금병초등학교 교사)

검은 비닐로 씌운 텃밭이 아니었으면 한다. 온전히 흙과 그 흙에 기대어 사는 풀과 곤충들이 사는 텃밭이었으면 한다. 대농을 목적으로 하는 텃밭 농이 아니니까. 적어도 학교 텃밭에는 비닐과 화학비료가 없었으면 한다. 모종을 사다 심기보다는 씨앗부터 시작했으면 좋겠다. 

수업이란 이름으로도 좋고, 놀이라는 이름으로도 좋다. 텃밭에서 아이들이 놀 수 있었으면 좋겠다. 아침마다, 중간놀이 시간마다 놀아도 좋겠다. 텃밭에서 흙장난도 좀 하고, 어제 심은 당근이 싹이 돋았나, 그제 심은 완두콩은 소식이 좀 있나 궁금해 하며 몰래 파 보기도 했으면 좋겠다. 새콤달콤 딸기도 따 먹고, 토마토도 한입에 베어 물어 그 싱싱한 향긋함도 누려 봤으면 좋겠다. 

가장자리 적당한 곳에 앵두, 보리수, 매실, 오디, 산딸기, 까마중 열매도 따먹는 재미를 느껴 봤으면 좋겠다. 오디를 따먹다가 시커메진 친구의 손과 입을 놀리며 깔깔거렸으면 좋겠다. 그러면서 계절이 오고 가는 것도 알고, 철따라 피고 지는 꽃이며, 나무며, 채소도 알았으면 좋겠다. 에이, 몰라도 좋다. 그냥 그 재미와 신비를 느껴보고 한 조각 몸속에 남겨 두었으면 좋겠다. 텃밭에서 놀다가 곤충도 만나서 친구가 될 수도 있고, 무서워 도망칠 수 도 있다. 비오는 날 달팽이는 가장 좋은 친구다. 서툴지만 호미와 삽으로 땅도 좀 파 봤으면 좋겠다. 

가능하다면 코딱지만한 텃논에서 매일 먹는 ‘쌀’이 어떻게 생겼나 구경이라도 좀 해봤으면 좋겠다. 벼를 만져도 보고 괜히 냄새도 맡아 봤으면 좋겠다. 이삭이 맺히면 몇 알 털어 입속에 넣어 보고, 오도독오도독 씹어도 봤으면 좋겠다. 작은 논 속에서 꼬물꼬물 올챙이며 송사리도 만나고, 국어 수업, 수학 수업도 가끔은 텃밭에서 했으면 좋겠다. 시도 써 보고 글도 써 보고, 우리가 만든 이랑에서 1m의 길이가 얼마쯤인가를 양팔 벌려 재봤으면 좋겠고, 내가 수확한 호박 무게도 재어 보면 좋겠다. 미술 시간에 풍경화니 세밀화니 하는 것들도 그렇게 배웠으면 좋겠다. 과학 시간에 배운 이슬도 텃밭에 있고, 식물도 곤충도 텃밭에 있는데, 그런 것들을 ‘글’로, ‘사진’으로만 배우지 말고 ‘몸’으로도 배웠으면 좋겠다. 학교에 도서실, 컴퓨터실, 영어실이 있듯이 텃밭도 있고, 텃논도 있고, 부엌도 좀 있었으면 좋겠다. 예쁘고 편하게 지어진 부엌, 그 부엌에 둘러 모여 함께 가꾸고 수확한 채소에 얽힌 이야기도 나누고, 그걸 가지고 요리도 해봤으면 좋겠다. 

기다려도 봤으면 좋겠다. 오늘 심은 고구마 줄기가 내일 당장 고구마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간’이 필요하고 ‘정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생명이 자라는 데는 무엇보다 ‘기다림’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워 봤으면 좋겠다. 벼가 알곡을 맺기까지 얼마나 많은 것들이 함께하는지, 손바닥 안의 작은 씨앗이 어떻게 그리 큰 것이 되는지, 그 안에 해도 담기고 땅도 담기고 시간도 담기고 나도 다른 생명도 담겨 있다는 것을 배웠으면 좋겠다. 누군가 다 농사 지어 놓은 농장에 가서 열매만 따먹는 텃밭 코스프레 말고. 

잡초도 대접 받는 그런 텃밭, 다름을 인정하는 것, 배려, 공감 등의 가치를 일명 잡초로 무리 지어진 풀들에게서 알 수 있겠다. 내가 기르고 있는 작물을 죽이지 않는 선에서 풀들도 함께 자라게 두는 것은 또 어떨까? 공생과 우주를 저 멀리 밤하늘에 떠 있는 별을 통해 만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기르고 먹는 곡식이며 채소를 통해 만나고, 나도 세상과 우주와 연결되어 살고 있다는 것을 몸으로 세밀하게 느끼고 구체적으로 겪어 배워 봤으면 좋겠다. 이런 질문으로 봄, 학교 텃밭 농사 채비를 하고 있었으면 좋겠다.  

키워드
#텃밭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