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공공보건 역량 및 감염병 대응 체계강화 등 포스트 코로나 대응방안 마련
전문가, 시 공무원들의 내부역량을 강화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응 필요

춘천시가 코로나 위기극복과 일상회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들었다.

시는 지난 1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전문가와 토론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수 시장과 관련 국장, 자문위원 등이 참석했다. 

춘천시는 포스트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 전문가들의 자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춘천시는 포스트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 전문가들의 자문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포스트 코로나 시 대응방안은 △공공보건 역량 및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틈새없는 돌봄체계 구축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공공일자리 확대 △친환경 미래성장 산업 육성 △저공해 교통수단 이용 활성화 △트렌드 변화에 맞춘 관광 및 문화상품 개발 등이다.

자문위원들은 내부역량을 갖추고 데이터 중심으로 보완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김대건 강원대학교 교수는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조직 내 내부역량이 갖춰졌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외부에서 보기에는 내부역량이 부족해 보인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서는 가치를 전환해 바라봐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라는 용어를 모두 쓰니 쓰고, 사업은 기존대로 하는 느낌이다.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시장은 직원들이 따라 줄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포스트 코로나 이전 패러다임과 함께 정책을 추진할 것인지 다시 새롭게 개편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21세기를 살며 20세기 이야기를 하고 풀어나가는 것은 19세기인 느낌이 있다. 공무원사회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신동수 한림대학교 교수는 “앞으로는 바이러스와의 전쟁이다. 코로나로 인해 미래가 당겨진 느낌이다. 글로벌화 되며 코로나 시대를 맞아 우리의 장점과 단점이 여실히 드러났다. 우리의 단점을 보완해 발전시켜야 한다. 시민들의 기본적인 건강권 보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균 한림대학교 교수는 “코로나 사태 이후 복지환경이 변화했다. 이제는 자리 앉아서 하는 소극적인 것이 아닌 찾아가는 적극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지역에는 복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간 시설이 많다. 무너진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사회적 관계 복원의 사회적 운동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홍길종 강원대학교 교수는 “코로나로 인해 사회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코로나 이후 정책 결정에 있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민이 필요하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업체 지원을 통한 고용 확대로 장기적인 일자리 창출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병철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교수는 “실제적인 코로나 대응을 위해서는 피해와 생태구조 변화 파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 춘천 관광과 문화에 관련해 영향을 미친 실제적인 데이터와 통계를 찾기 힘들다. 실시간 변화 상황에 따른 동향분석이 어렵다. 춘천시 차원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영한 강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코로나로 인한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민 필요하다. 사회적 기반을 활성화해 지역경제를 살리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수 시장은 “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 중이다. 코로나 이후 시민들이 겪고 있는 정서적·심리적 혼돈을 해결하기 위해 시가 접근해야 할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호 기자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