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르는 총학생회 ‘실종’
코로나19 대면 상황 늘었으나 학생자치 위태
‘대학사회’ 주인의식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 많아

박상현 대학생 기자

매년 11월의 대학가는 가을을 준비하는 낙엽들의 추락으로 노란 교정이 빛나는 아름다움이 있다. 코로나19로 한적했던 거리는 어느새 계절을 맞이하는 대학생들로 붐비기 시작했고, 학생들은 되돌아온 대학의 분위기에 적응하고 있다. 하지만 개강 이후 강원권을 비롯한 전국의 대학교에서 총학생회 구성을 위한 선거 진행에 몰두하고 있지만, 다수의 학교에서는 입후보자를 찾을 수 없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사람들은 변화된 학교에 적응하고 있지만, 학생사회 정치계는 아직 과도기인 셈이다.

도내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A씨(21, 남)는 자신이 투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총학생회가 없어도 불편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회의 존재 이유를 모르겠다. 비리, 논란의 중심인 학생사회 정치가들을 더 이상 신뢰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잃어버린 신뢰를 복구할 방안을 기대하고, 매년 선거 공고를 주의 깊게 보았으나 A씨는 자신이 선호하는 정책의 방향성을 찾아볼 수 없는 소극적인 후보단들의 태도에 보이콧을 선언하고 나름의 정치적 표현을 이은 셈이다. 변화를 찾아보기 힘든 학생사회의 무료함에 학생들은 효능감을 잃어버렸다. 같은 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 B씨(25, 여)는 “총학생회 등 학생자치기구에 관심이 많지 않은 것이 코로나19로 침체된 대학사회 분위기의 문제만은 아니며, 자신이 신입생으로 입학했을 때도 자치 분야에 관심을 갖지 않던 흐름이었다”라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는 5번의 선거기간 동안 공석으로 남겨져있던 총학생회가 올해 처음 출범했다. 약 2년 4개월 만에 총학생회를 되찾게 된 것이다. 투표는 보궐 과정으로 이행되어 약 4일간 진행되었으나, 투표율 미달로 나흘간 연장투표를 진행하고 최종 전체 투표율 51.55%로 단일 후보단의 당선을 확정지었다.

MZ세대들에게 선거는 ‘의무가 아닌 권리’라는 인식이 강하다. 전문가들은 낮은 투표율에 대해 선거를 의무라고 생각하지 않는 2030세대들이 피로감을 더욱 느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속적인 의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선거를 안 하는 것도 하나의 정치적인 의견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의 늪,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도래’가 학생사회 참정 의식 부재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이야기한다. 신희선 교수(숙명여대 기초교양대학)는 “대학입시가 고교교육을 황폐화시켰다면, 취업률에 목을 맨 대학사회에서 온라인 상황은 교육과정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었다”며, 이어 “신자유주의 여파로 학생들조차 스펙 관리에 매몰되다 보니 협력과 봉사활동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주권의식마저 실종되었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수업을 듣고 좋은 학점을 받는 것만이 대학의 존재 이유는 아니다. 자신의 의견과 목소리를 올바르게 대학사회에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학생회는 그 속에서 학생들이 소속감을 가지고 주체적인 존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유익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정책들을 발굴해 제시해야 한다. 

학생회 선거는 민주주의를 체험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기회다. 학생회의 존재 이유를 논의할 수 있는 숙의의 장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아무도 후보로 나서지 않고, 또 무관심을 연유로 무투표를 택하는 것은 공동체의 위기이며, 널리 보았을 때는 우리 사회가 뿌리째 흔들리는 일이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