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욱(작가·춘천문인협회 회원)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아폴로 싸롱은 그 이름을 분명히 몇 해 전 ‘달에 처음 착륙한 미 우주선 아폴로 11호’에서 따다 지었을 텐데 어울리지 않게 건물 지하에 있었다. 20평이 채 안 되는 지하공간에 서양 팝송들이 심심치 않게 흘러나왔고 트윈폴리오 같은 우리나라 젊은 가수의 노래도 자주 흘러나왔다. 송창식의 ‘창밖에는 비 오고요 바람 불고요’가 흘러나올 때에는 지하공간 가까이로 찬 가을비가 내리거나 끝 모를 바람 한 줄기가 부는 듯했다. 낭랑한 음색인데도 음울하게 들리던 그의 노래는 우리 춘천의 젊은이들을 바닥 모를 우울한 심연에 가라앉히는 것 같았다.

오랜 세월 후인 이제야 그 까닭을 깨달았다. 당시는 ‘한국적 민주주의’라는 궤변 하에 국민들의 기본 인권이 견제되던 유신(維新)치하였다. 정국의 흐름을 감지할 만한 수도권(首都圈)에 살지 않는, 지방대학생들이지만 알게 모르게 그런 시대적 분위기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던 게 아닐까? 당시 70년대 중반의 춘천은, 서울에서 버스나 열차로 두 시간 넘게 걸려 도착하는 외진 지방이었다.

그럴 즈음에 아폴로 싸롱에서 자주 듣던 외국 팝송에 ‘A Whiter Shade of Pale’이 있었다. 어둑한 지하공간에 묵직하게 울려 퍼지던 하몬드 오르간 소리에 이어 시작되던 노래. 

We skipped the light fandango 

Turned cartwheels cross the floor 

I was feeling kind of seasick 

The crowd called out for more 

The room was humming harder

as the ceiling flew away(하략) 

실토한다. 그 때 아폴로 싸롱에 앉아서 이 ‘A Whiter Shade of Pale’을 듣던 우리들 중 그 누구도 노랫말 뜻을 몰랐다는 사실을. 다만 지하공간의 주제곡인 것처럼 음울하고 무겁게 울려 퍼지는 외국 팝송이라 괜히 심취하는 표정들로 앉아 있었을 뿐이었다….

세월이 많이 흐른 지금 나는 도대체 ‘A Whiter Shade of Pale’노랫말 뜻이 무언지 궁금해서 인터넷으로 찾아보았다. 세상에, 이 노래는 그 후 반세기 세월이 흘렀음에도 해석에 관한 한 정답이 없는… 애당초 해석 불가의 노래였던 것이다.

해석 불가의 팝송에 심취한 우리들이라니. 해석 난감한 그 시대에 걸맞은 모습들이 아니었을까?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이병욱(작가·춘천문인협회 회원)


덧붙임

‘A Whiter Shade of Pale’은 밴드 Procol Harum이 1967년에 발표, 전 세계적으로 음반 천만장이 팔려나갔다.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3번 D장조의 멜로디를 빌려 썼다는 일화가 있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