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사는 지역을 달리하여 순환 근무를 하는 공무원이나 각급 기관장의 공적인 업무 수행의 효율성을 위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거처로 마련해 준 곳을 말한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여 관사의 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아직도 강원도의 일부 학교나 군부대에서는 외지에서 온 근무자를 위해 관사를 두고 있다.

조선 시대에도 중앙부처에서 부임해 오는 수령을 위한 관사가 있었다. 춘천에도 현재 도청자리에 춘천 부사가 거처하는 관사가 있었다. 대한제국기에 이르러 춘천은 강원도청이 자리 잡은 도청소재지가 되었고, 군청, 경찰, 학교 등 근대적 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이 세워졌다. 이에 따라 각 기관에서 근무하는 관원들이 중앙에서 파견되었고 그들이 기거할 관사가 여러 곳에 세워졌다. 

출처= 문화재청(2006)
출처= 문화재청(2006)

국가등록문화재 제107호로 지정된 ‘강원도지사 구 관사’(사진)는 춘천시청과 춘천시의회 사이에 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에는 1964년에 건립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1959년 건축물대장의 기록과 당시의 증언, 1930년대 춘천시가지 지도 등을 종합해 보면 1960년 이전에도 도지사 관사가 현재의 위치에 있었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아마도 1950년대 후반에서 1964년 사이에 같은 부지에 현재의 모습으로 신축했을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도지사 관사와 관련한 일화가 있다. 당시 도지사였던 민족반역자 이범익은 1933년 4월 1일 춘천읍의 행정구역을 일제식 지명인 정(町)으로 개정하였다. 이때 도지사 관사가 있던 지역을 단양정(丹陽町)으로 개칭하였는데 이유인즉슨 이범익의 고향이 충북 단양이어서 관사가 있는 곳을 그리 불렀다는 것이다. 1945년 해방 이후 왜식 동명 변경 때 단양정은 옥천동으로 바뀌었다.

출처= 춘천학연구소(2020)
출처= 춘천학연구소(2020)

건축물의 역사를 살펴보면 1998년까지 도지사 관사로 사용되었다가 1999년 춘천문화원이 이전 활용했다. 2004년에는 근대 건축의 특성을 잘 보전하고 있다는 점이 인정되어 문화재청에서 등록문화재로 지정하였다. 2010년 춘천문화원이 퇴계동으로 이전하고 춘천시의 부속건물로 사용되었으나 곧 수난을 겪게 된다. 2014년 춘천시의 신청사 건립 계획이 발표되고 건물의 이전 논의가 점화되었다. 청사부지 확보를 위해 이전해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문화재청은 건물 이전의 타당성 부족과 역사성 보존을 이유로 이전 불허 결정을 내렸다. 현 위치에 보존하는 것으로 논란이 마무리된 것이다. 이후 활용계획도 난관에 빠졌다. 신청사 건립과 맞물려 근대건축물을 활용하여 행정전시관으로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이마저도 흐지부지 시행되지 않았다. 

요즘에 들어 관사가 시민 활용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권위의 공간이 시민의 광장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강원도지사 옛 관사가 이제 곧 리모델링을 마치고 마을자치지원센터로 활용될 모양이다. 역사성을 이어가면서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춘천학연구소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