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7일은 ‘신문의 날’이다. 올해로 66회째를 맞이하고 있다. 신문의 날의 유래는 1957년 한국신문편집인협회가 창립되면서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정하면서부터이다. 그런데 그 기원은 훨씬 더 올라가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이라는 1896년의 《독립신문》창간에서 비롯된다. 그 신문의 창간일이 4월 7일이다. 그러나 이 신문이 독립이라는 제호와 달리 친일 성향의 신문이라면 재고해봐야 하지 않을까. 

구한말 기울어가는 국운을 바로잡고 민족을 개화하여 자주·독립·민권의 기틀을 확립한다는 창간 정신을 가지고 출발했지만, 1899년 폐간 때까지의 행적을 살펴보면 친일 성향의 부왜역적지라는 증거도 곳곳에 드러난다. 《독립신문》이 정부에 협조하고 정부 시책을 계몽하는 입장을 취하던 창간 당시와는 달리 독립협회가 생기고 나서는 반정부적인 태도로 바뀌어서, 애국지사를 헐뜯고, 일제 앞잡이를 두둔하며, 반청친일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의병을 ‘비도’(匪徒), 의병장을 ‘비도수괴’(匪徒首魁)라 표현하고 강력한 의병토벌을 주장하는가 하면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를 각각 우리나라와 동양 최고 정치인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이 신문은 독립협회 기관지기도 한데, 독립협회 초대 이사장이 이완용이다. 이와 같은 사정에도 불구하고 이날을 굳이 신문의 날로 기념해야 할까? 연원이 그래서일까? 한국언론은 여전히 객관성, 공정성, 비판적 기능을 의심받고 있다. 

신문, 아닌 한국언론은 여전히 개혁 대상이다. 요즘 소위 ‘개딸’(개혁의 딸들)이라 일컬어지는 민주당 개혁을 주장하는 이삼십대 여성들의 요구사항 중에 언론개혁이 들어가 있다. “정치인들은 국민을 두려워하게 하시고, 기업인들은 사람을 존중하게 하시며, 언론인들은 진실을 말하게 해 주시고, 법조인들은 양심을 지키게 하소서.” 매일 저녁 온라인에서 게시하는 ‘기도스’(기도+디도스의 합성조어)의 일부다. 언론이 여전히 개혁의 대상이 되어있고, 기자들이 기레기라는 비난을 받는 것에는 언론사와 언론인의 책임이 크다. 반성하고 개혁해야 한다. 

지역 언론도 예외는 아니다. 지역 언론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서 중요하다. 지역 상인자본이 창간한 춘천의 한 인터넷 주간신문의 행태는 그런 의미에서 비판받아 마땅하다. 소유주 1인 자본으로 창간한 이 주간지는 타블로이드 판형으로 24면이 발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면의 상당 부분이 광고로 도배되어 있어서 생활정보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위클리 매거진을 표방하며 8만 부를 찍는다지만 무가지로 배포된다. 마트 가맹점이나 거리의 가판대에 무료로 배포하거나 지역 일간지의 간지 형태로 배부하고 있으니 인터넷신문이라고 주장하면 이해할만하다. 

더 큰 문제는 그들의 기자 충원 방식은 지역 언론의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들이 지역의 다른 신문과 비교해 더 나은 조건으로 기자를 채용하는 것 자체가 비난받을 일이 아니다. 기자가 더 나은 조건에 자리를 옮기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문제는 신입 기자를 채용해 훈련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른 신문사의 경력 기자들로 충원하는 것이다. 그러니 다른 신문사의 기자를 빼가는 시스템이 되는 것이다. 이런 경험을 한 어느 지역 일간지는 기자 훈련소가 되었다고 자조한다는 얘기가 들린다. 이 일간지가 같은 일을 하고 있다면 그것도 문제이다. 작은 시장터에도 상거래 질서와 윤리가 있다. 하물며 언론은 말해 무엇하랴.

언론은 사회의 공기(公器)이며, 지역 언론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기초라는 점을 자각하는 신문의 날이었으면 한다. 《춘천사람들》도 신문 하나 더 더해져 더 나은 사회가 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 스스로 반성하게 되는 날이다. 신문의 날을 맞아 드는 유감(有感) 또는 유감(遺憾)이다.

저작권자 © 《춘천사람들》 - 춘천시민의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