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끝났는데 밭에 농작물이 있어야 접수 가능…늦장 대응에 농민들 분노만
지난 24일까지 피해 상황 접수했지만 정작 일선 공무원은 접수 사실조차 몰라
농민단체, "최소한의 생산비 보장 대책 및 민관협의회 구성" 촉구
기후변화에 따른 기록적인 가을장마로 밭작물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강원도가 뒤늦게 피해 상황을 접수했지만, 늦장 대응으로 도내 밭 면적 7만ha 중 0.6%에 해당하는 400여ha에 그쳤다고 전국농민회총연맹 강원도연맹이 밝혔다.
전농 강원도연맹은 지난 22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원도의 경우 피해접수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많은 농민이 제대로 접수조차 못한 상황”이라며 “밭작물 농업피해를 전면 재조사해 최소한의 생산비가 마련되는 대책”을 촉구했다.
강원도 농민들은 지난 9~10월에 내린 가을장마로 인해 배추는 물에 잠겨서 제대로 수확조차 하지 못했으며, 들깨·콩·팥·수수 등의 잡곡은 각종 곰팡이병으로 인해 예년과 대비해 반타작에 불과한데도 도내 읍·면사무소 공무원들은 피해접수를 한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피해 농민들은 피해 상황을 본인이 직접 증명해야 하고, 수확이 다 끝난 마당에 밭에 농작물이 보존된 상태라야 접수할 수 있어 피해 상황을 증명하려고 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늦장 대응 행정이 오히려 농민들의 분노만 자아내고 있다는 게 전농 강원도연맹의 설명이다.
농민들은 “기후재난으로 인한 밭작물 농업피해에 대한 전면적인 재조사가 필요”하다면서 “최소한 생산비가 보장되는 대책 마련 촉구”와 함께 “현장 농민들과 농민단체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민관협의회 구성”을 촉구했다.
전흥우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후원해 주세요
기사 후원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