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24일 오전 11시 춘천여고 앞에서 "소녀상 철거" 시위
춘천경찰서, 지난 12일 집회 허가하고 해당 학교에 통보…각계 비난 '봇물'
춘천여성민우회 등 도내 11개 단체, 26일 오전 춘천경찰서 앞 항의 기자회견

극우단체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24일 오전 춘천여고 앞에서 '소녀상 철거' 집회. 사진=춘천MBC 보도영상 캡처.
극우단체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24일 오전 춘천여고 앞에서 '소녀상 철거' 집회. 사진=춘천MBC 보도영상 캡처.

″위안부가 성매매 여성…위안소에서 일어난 포르노와 같은 난잡한 이야기….″

″‘너희들도 졸업하면 매춘부가 되거나 창녀가 되거라’ 이 말입니까?″

차마 입에 담지 못할 말들이 화면 밖으로 쏟아진다. 춘천MBC가 어제 춘천여고 앞에서 있었던 극우단체의 ‘소녀상’ 철거 시위에 대해 보도한 내용이다.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이라는 이 극우단체는 24일 오전 11시, 춘천여고 정문 앞에서 “소녀상도 위안부도 대국민 사기”, “반일은 정신병” 등의 피켓을 들고 약 1시간 정도 확성기를 이용해 “소녀상 철거”를 외친 뒤 해산했다.

학생들이 교실에서 수업 중인데 위안부 피해자를 모욕하는 반인륜적인 만행이 버젓이 자행된 것이다. 이 단체는 최근 전국 각지 학교 앞에서 집회를 이어가며 학교 현장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극우단체도 문제지만, 집회를 허가한 춘천경찰서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학습권을 현저히 침해할 우려가 있을 시 학교 앞 집회를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다.

실제로 서울 성동경찰서와 서초경찰서는 지난 22일 이 단체 명의로 신청된 학교 근처 집회를 금지했다. 학습권을 뚜렷이 침해할 우려가 있고 등·하교 학생들의 평온을 해치거나 다른 시민 및 단체들과 마찰을 빚을 우려가 크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춘천경찰서의 대응은 달랐다. 춘천경찰서 관계자에게 집회 신고 경위를 묻자 해당 단체가 “지난 12일 직접 방문해 집회를 신고했다”고 답했다. “교육적 차원에서 학교 앞 집회를 허가할 때 더 신중했어야 했던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이 관계자는 “집회 신고 주체를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너무 안이한 대응이 아니었냐?"고 재차 묻자 "교육청이나 학교 등과 충분히 소통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대응에 소홀한 점이 있었다는 걸 인정하는 눈치였다.

춘천여성민우회 등 강원도 내 11개 여성단체는 당장 26일 오전 11시 춘천경찰서 앞에서 항의 기자회견을 예고했다. 이들은 “보호받아야 할 공간인 학교 주변에서 혐오 표현이 포함된 시위가 반복되는 것은 교육권과 인권 모두의 침해”라면서 “춘천경찰서는 왜곡된 역사의식에 기반한 혐오 발언으로 학생들의 교육권과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을 침해하는 이 단체의 집회를 불허하라”고 주장했다.

25일 오후 4시 현재까지 기자회견에 동참하는 단체는 다음과 같다.

(사)강릉여성의전화

(사)전문직여성한국연맹춘천클럽

강원도여성권익증진상담소시설협의회

강원여성연대

고령사회를이롭게하는춘천여성

더불어민주당춘천여성위원회

원주여성민우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

춘천시민사회네트워크

춘천여성민우회

평화의소녀상과함께하는날갯짓

 

2019년 춘천여고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당시 장면. 출처=뉴스1
2019년 춘천여고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당시 장면. 출처=뉴스1

일각에서는 경찰에서 좀 더 명확한 기준을 만들어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에서는 학생들이 극우단체들의 혐오적이고 폭력적인 표현들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학교 앞 200m 내 혐오 시위를 제한하는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춘천여고는 3·1혁명 100주년을 기념해 2016년 팔렬고, 2017년 횡성여고에 이어 강원도 내 학교로는 세 번째로 2019년 2월 27일 교정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전흥우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후원해 주세요 기사 후원하기
저작권자 © 시민언론 <춘천사람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